복지&지역사회

친환경 인증 농가 17.7% 감소.. 인증면적 16.7% 감소

- 위성곤 의원, 인증 취소 농가수 61.3% 증가, 면적 94.3% 증가
- 위 의원 “현실에 맞는 직불금 단가 인상, 과정 중심 인증제도 개선 필요”

농식품부가 ‘제5차 친환경농업 육성 계획 추진’ 등 친환경농업 활성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친환경 인증 농가수와 인증 면적은 오히려 크게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위성곤 의원(더불어민주당, 제주 서귀포시)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 8월 현재 친환경농업에 종사하는 농가수는 4만8,383호로 2019년 5만8,055호 대비 17.7% 줄고, 친환경농업 인증면적은 2023년 8월 현재 6만7,238ha로 2019년 8만1,718ha에 비해 16.7% 감소해 친환경 농업 활성화 정책이 후퇴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지역별 친환경농업 농가수 변화를 살펴보면, 17개 광역시도 가운데 세종, 대구, 광주, 울산을 제외한 나머지 13개 지역에서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의 감소율이 24%(2만7,354농가 → 2만800농가)로 가장 높고, 전북 20.4%(4,191 → 3,334), 서울 19.7%(76 → 61), 인천 18.9%(285 → 231), 경북 15.8%(4,101 → 3,452), 경기 14.4%(5,366 → 4,591), 부산 11.4%(79 → 70), 강원 8.6%(2,389 → 2,184), 경남 5.0%(4,933 → 4,686), 대전 3.1%(418 → 405), 충북 1.9%(3,074 → 3,016), 제주 1.3%(1,171 → 1,156)의 감소율을 보였다. 반면, 울산의 친환경 인증 농가는 122.5%(71 → 158) 증가했으며, 광주 43.9%(41 → 59), 대구 13.2%(129 → 146), 세종 9.5%(105 → 115) 각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친환경농업 인증면적은 17개 광역시도 가운데 경남, 제주, 대구, 광주, 울산를 제외한 12개 지역에서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감소율이 40.0%(25ha → 15ha)로 가장 높고, 전남 26.6%(4만6,460 → 3만4,112), 대전 19.5%(560 → 451), 전북 15.9%(5,707 → 4,797), 세종 13.8%(130 → 112), 인천 11.6%(558 → 493), 경기 9.7%(5,437 → 4,912), 충남 9.2%(5,204 → 4,726), 경북 8.6%(4,101 → 3,452), 강원 1.7%(3,670 → 3,606), 충북 1.7%(2,907 → 2,856)의 감소율을 보였다. 반면, 울산의 친환경 인증 면적은 66%(53 → 88) 증가했으며, 광주 50.0%(12 → 18), 대구 10.9%(55 → 61), 제주 7.1%(2,204 → 2,360), 경남 4.4%(4,968 → 5,18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친환경농업의 감소 원인으로 친환경농산물의 판로축소, 현실에 맞지 않는 인증제도, 친환경 농업 지원금 부실 등이 지적되고 있다.

 

코로나로 인해 친환경 농산물 공급비율의 30%를 차지하던 학교급식이 중단된 바 있으며, 정부의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 지원사업’ 중단 등으로 친환경 농산물의 판로가 축소되었다.

 

인증제도도 장벽으로 작용한다. 농약이 불검출 되어야 친환경인증을 부여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등 미국, 유럽에 비해 높은 친환경 인증기준은 친환경농업의 유지 및 진입을 어렵게 하고 있다. 친환경 인증 취소 농가 및 면적 추이를 살펴보면, 2022년 인증 취소 면적은 3,044ha로 2019년 1,910ha 대비 94.3% 증가하였으며, 인증 취소 농가수는 2022년 2,299호로 2019년 1,425호 대비 61.3%나 증가했다. 친환경농업을 인증을 중도포기한 농가수도 2019년 997호에서 2021년 1,901호로 2배 가까운 수준으로 증가했다.

 

친환경농업에 대한 직불금은 현재 유기 논의 경우 ha 당 70만원, 유기 과수는 ha 당 140만원 등으로 2018년 이후 단가가 인상되지 않고 있어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다.

 

위성곤 의원은 “지나치게 엄격한 인증기준과 친환경 농업에 대한 부실한 지원이 친환경 농업의 활성화를 가로막고 있다” 면서, “현실에 맞는 직불금 단가 인상과 결과중심에서 과정중심으로의 제도개선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업용 로봇’ 상용화에 박차!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은 4월 24일 전북 익산에 위치한 농생명ICT검인증센터에서 ‘2025년 농업용 로봇 실증지원사업 안내교육’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올해 실증 사업자로 선정된 ㈜싸인랩과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을 비롯해, 사업 주관기관인 농촌진흥청, 실증사업 참여기관인 이천·포항 농업기술센터, 그리고 ㈜대동, LS엠트론㈜, ㈜하다 등 주요 로봇 제조업체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교육에서는 실증계획 수립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그 해결 방안, 농업용 로봇 기술 상용화를 위한 전략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특히, 첨단 농기계 기술 접목을 통한 농업 문제 해결 필요성이 강조됐다. 고령화, 인력 부족, 기후변화 등 농업 분야가 직면한 구조적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자율주행 기술 등 첨단 농업용 로봇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는 상황이다. ‘농업용 로봇 실증지원사업’은 이러한 기술들을 실제 농업 현장에 적용하여 성능과 안전성을 검증하고, 사용자 의견을 반영해 지속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상용화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고 추진되고 있다. 현재 실증은 ▲경남 함양(양파) ▲충남 당진(벼) ▲경남 거창(사과) ▲경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