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청년농 비중 최근 3년간 43.4% 급감”

- 위성곤 의원, 경영주 농가 2020년 12,426가구에서 2022년 7,036가구로 급감
- 6개월 이상 농업종사자 가운데 39세이하 비중 1.7%로 역대 최저
- 위성곤 의원 “청년층 농업이탈 심각... 청년농 육성 정책 근본적인 개선책 필요”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위성곤 의원(더불어민주당, 제주 서귀포시)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2022년 39세 이하 경영주 농가는 7,036가구로 2020년 1만2,426가구에 비해 무려 43.4%나 감소해 청년층의 농업이탈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정부가 추진 중인 청년농업인 육성 정책에 대한 실효성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지역별로 최근 3년간 39세이하 농가 경영주의 감소율은 대구광역시가 89.5%로 가장 높고, 대전광역시 79.9%, 광주광역시 79.2%, 인천광역시 64.2%, 경기도 55.8%, 충청북도 51.3%, 전라남도 47.6%, 강원 44.8% 등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40세 이상 49세 이하의 농가 경영주는 6만1,794가구에서 4만1,536가구로 33% 감소, ▲50세 이상 59세 이하는 20만2,331가구에서 15만8,146가구로 21.8% 감소, ▲60세 이상 69세 이하는 347,714가구에서 350,824가구로 0.9% 증가, ▲70세 이상은 410,748가구에서 465,254가구로 13.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중년층의 농업이탈로 인한 농업고령화 현상이 더욱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2022년 기준 6개월 이상 농업종사 농가인구 141만 5,423명 중 39세이하는 24,046명으로 1.7%를 차지해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다.

 

지역별로 전라북도가 2.2%로 가장 높고, 제주특별자치도 2.1%, 충청남도 1.8%, 전라남도 1.8%, 강원도 1.7%, 경상남도 1.7%, 충청북도 1.7%, 경기도 1.6% 등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6개월 이상 농업종사 농가인구는 ▲40세 이상 49세 이하는 2만4,036명으로 6개월 이상 농업종사 농가인구 전체의 4.2%, ▲50세 이상 59세 이하는 20만2,554명으로 14.3%, ▲60세 이상 69세 이하는 50만5,172명으로 35.7% ▲70세 이상은 62만3,857명으로 44.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성곤 의원은 “정부가 청년농 육성을 위해 영농정착지원사업, 후계농업경영인 선정, 농지은행 매매·임대 지원 등의 사업을 진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청년층이 농업을 떠나는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면서, “현재까지 펼쳐왔던 청년농 육성정책을 근본부터 다시 짚어보고 종합적인 개선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정부 양곡 2.5만톤 추가 방출... 15일까지 물량신청 서둘러야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쌀 수급 안정을 위해 정부양곡(벼)을 추가로 2.5만 톤(정곡) 공급한다고 밝혔다. 지난 8월 25일부터 공급한 정부양곡 3만 톤의 판매 현황을 조사한 결과, 9월 5일까지 2주 동안 공급 물량의 절반 이상을 판매 완료하였고, 잔여 물량 또한 2주 내외 공급 가능한 물량으로, 햅쌀(중만생종)이 본격적으로 출하되는 10월 중순까지 지역에 따라 1~2주일간의 원료곡이 부족한 상황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올해 조생종 수확 시기에 잦은 비로 인한 조생종 출하가 늦어져 구곡에 대한 산지유통업체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농식품부는 이번에 추가로 2.5만 톤(정곡)을 공급하여 산지유통업체의 원료곡(벼) 확보 애로를 충분히 해소하여 쌀 수급 안정을 도모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번 정부양곡 공급 대상은 ’24년 정부 벼 매입자금 지원 대상인 산지유통업체와 연간 매입물량이 3천 톤 이상인 임도정업체(이하 대상업체)이다(지난 8월 3만 톤 정부양곡 대여 공급대상과 동일). 대상업체 중 정부양곡 공급을 희망하는 업체는 농협경제지주 공지에 따라 9월 15일까지 희망 물량을 제출하면 된다. 대상업체의 전년도 쌀 판매량 비중을 감안하여 대여 물량이 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