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채소 디지털 육종기술 어디까지 왔나?

- 전북 김제에서 채소 대량 분자표지 세트 기술 설명회
- 디지털 육종 기술 활성화, 현장 보급 방안 논의
- 현재 5대 품목 분자표지 세트 개발, 69건 기술 이전해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 국립원예특작과학원과 한국농업기술진흥원은 6일 국제종자박람회가 열리는 종자산업진흥센터에서 ‘디지털 육종 현장 지원을 위한 채소 대량 분자표지(마커)세트 기술 설명회’를 연다.

디지털 육종이란 많은 유전 정보를 장비로 분석해 앞으로 나올 특성을 예측, 품종을 효율적으로 선발하는 것을 말한다.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은 우리 종자 기업이 디지털 육종 기술을 활용해 채소 품종을 개발할 수 있도록 2013년부터 약 10년에 걸쳐 현장 시급성을 반영한 작목을 대상으로 단계별 세대 단축, 종자 순도 검정을 위한 대량 분자표지 세트를 개발했다. 그 결과, 지금까지 총 69건의 기술을 이전, 현장에 보급했다.
기술이전 내역(2016~2023.9.)을 보면 총 69건(한국농업기술진흥원 20건, 종자 기업 49건, 총 기술료 3.2억 원)이다.

이번 행사는 그동안 개발한 기술을 민간 채소 육종 담당자에게 소개하고 분자표지 분석 서비스를 알리고자 기획했다. 연구자와 산업체 전문가가 자리를 같이해 ‘작목별 종자 기업 맞춤형 디지털 육종기술 개발과 활용’이라는 주제로 발표하고 토의할 예정이다.

 


먼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김도선 연구관과 이은수 연구사는 배추, 무, 오이, 수박, 호박 5대 채소 품목의 대량 분자표지 세트 개발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하고 품종과 육종 집단을 직접 검정한 결과를 소개한다.

한국농업기술진흥원 종자산업진흥센터 정영민 책임연구원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의 분자표지 세트를 활용한 분석 서비스 결과와 육종가의 이해를 돕기 위해 자체적으로 제작한 디지털육종정보화시스템 현황을 발표한다.

아울러, 종자 기업 가운데 파트너종묘와 대일국제종묘는 각각 ‘고품질 병 저항성 수박 품종 개발을 위한 분자표지 활용(김용재 대표)’, ‘배추 계통분류와 종자 생산관리를 위한 분자표지 활용(안춘희 소장)’이라는 주제로 활용 사례를 제시한다.

파트너종묘는 종자산업진흥센터에 의뢰한 분자표지 결과를 토대로, 흰가루병과 탄저병, 바이러스병 등에 강한 수박 품종을 2년 안에 출시하는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대일국제종묘는 직접 배추를 키워 종자의 순도를 확인하는 대신, 분자표지의 유전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검정 기간을 절반 이하로 단축했다.

종합토의 시간에는 채소 디지털 육종 활성화를 위한 기술 개발과 현장 보급 방안에 대해 자유롭게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문지혜 과장은 “이번 행사를 계기로 채소 디지털 육종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한 분자표지 세트 기술을 널리 알리고, 국립원예특작과학원과 한국농업기술진흥원, 종자 기업 등 민관협업이 한층 강화되길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한국농업기술진흥원 종자산업진흥센터 김진헌 센터장은 “디지털 육종기술은 민간 육종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채소 종자산업의 발전을 촉진하고, 다국적 종자 기업에 맞서 국내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서울우유 “국내 최고의 젖소 찾는다!”
. 서울우유협동조합(조합장 문진섭)이 오는 17일부터 18일까지 양일간 경기도 안성 농협경제지주 안성팜랜드에서 ‘제11회 서울우유 홀스타인 경진대회’를 개최한다. 서울우유협동조합이 주최하고 서울우유 우유군검정연합회가 주관하는 ‘서울우유 홀스타인 경진대회’는 1997년부터 시작된 낙농가 최대 축제로, 올해 11회째를 맞았다. 국내산 홀스타인 품종 젖소 중 농림축산식품부 젖소 능력검정사업에 참여하고, 유량과 건강 상태가 뛰어난 젖소를 선발해 국내 낙농산업의 우수성을 알리고, 유제품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대회는 60개 농가에서 엄선한 120두의 젖소가 출품돼 국내 최고의 젖소 자리를 두고 치열한 경합을 펼칠 예정이며, 특히 올해 11월 캐나다 ‘로얄 윈터페어 홀스타인 쇼’ 심사를 맡은 조엘 르파쥬 심사원을 초빙하여 심사 전문성을 강화한다. 많은 관람객이 방문하는 낙농가 축제인 만큼 부대행사도 풍성하게 마련했다. 우유, 발효유, 치즈 등 유제품 시식 행사와 함께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도 준비했다. 뿐만 아니라 국내 낙농산업의 기술력을 만나볼 수 있는 로봇착유기, 사료, 첨가제, 낙농기계 등 약 50여개의 낙농기자재 업체 전시회도 열린다. 또한, 낙농가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