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반려동물용 사료에 대한 체계적 관리 절실"

- 서울 도심에서 고병원성 AI 고양이 감염...잠재적 위험대비 제도개선 이루어져야

최근 서울 용산구와 관악구 소재 동물보호소에서 폐사한 세 마리의 고양이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 H5N1형)에 감염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동물보호자를 포함한 시민들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지난 2016년에도 고양이 두 마리에서 HPAI 확진 사례가 나온 적이 있으나, 현재까지 과학적으로 포유류간 HPAI의 전파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세계보건기구(WHO)에서도 “현재까지 사람으로의 HPAI 전파 가능성은 낮으나, 포유류에서의 감염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신종 바이러스 변이에 대한 면밀한 관찰과 대비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입장문을 지난 7월 12일 발표한 바 있다.

한편, 농림축산식품부 발표자료에 따르면, HPAI 발생 시설 내에서 채취한 사료에서도 조류인플루엔자(H5형)  항원이 검출되었으며, 해당 사료는 제조과정에서 위생 절차가 제대로 이행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그간 대한수의사회는 현행 사료관리법 등 국내 사료관리 체계가 양축용 사료 위주로 되어 있어, 반려동물용 사료의 관리를 위한 제도적 개선이 필요함을 지적해 왔다.

특히 반려동물이 먹는 사료는 “사료(feed)가 아닌 식품(food)”으로 인식되면서 펫푸드(Petfood)라는 용어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일본의 경우 “반려동물 사료안전법”을 제정하여 반려동물용 사료의 위생과 안전성을 별도로 관리하고 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라도 반려동물용 사료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체계가 조속히 마련되길 기원한다.

허주형 대한수의사회 회장은 “최근 HPAI 뿐만 아니라 SFTS 등 인수공통감염병에 대한 이슈가 사회적으로 부각되고 있다.”며 “막연한 두려움을 가질 필요는 없으나, 잠재적 위험성을 인지하여 야생동물 접촉 시 유의할 필요가 있으며, 신종감염병의 출현을 대비하여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한 제도적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수의사회는 이번 고양이 HPAI 발생과 관련하여 의심 동물 신고 등 정부의 방역조치에 적극 협력하고 있으며, 원헬스의 관점에서 동물과 사람의 건강을 모두 지키기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