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계란 수급에 문제없다"

- 양계협회 "계란가격...생산비 상승을 감안할 때 소비자에게 부담없다"

전국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AI로 인해 살처분 되고 있는 산란계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 때문에 수급의 불안정 및 계란가격 폭등이라는 말들이 많다. 

AI발생 전 산란계 사육수수는 약 7천 5백만 수로 안정적이었다. 현재 살처분 한 사육수수를 감안하더라도 수급에는 별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2022년 12월 현재 기준 평균 산지가격 5,062원 이었고, 소비자 가격은 6,727원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현재 사료가격은 작년 대비하여 130% 이상 상승하였으며, 실질적으로 산란계 농가에서 체감하는 생산비는 약 2배 정도가 올랐다. 하지만 생산비 상승 요인을 전부 계란가격 상승에 반영되지 않고 있고, 이로 인해 계란생산 농가는 적자에 허덕이고 있다. 다른 농축산물 품목 물가는 전부 오르는 반면 계란가격은 물가상승률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산란계 농가에 의하면 AI와는 무관하게 생산비 향상과 물가인상에 따라 계란가격은 상승되어야 마땅하다. 정부는 계란가격 상승을 막기 위해 계란수입 할당관세를 27%에서 0%로 변경하였다. 또한 정부는 계란의 소비자 가격이 7천원 이상 시 수입을 준비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계란수입이 일어나지 않도록 현재 농가와 정부에서는 AI방역을 위해 힘쓰고 있다. AI발생 시 농가의 피해가 어느 정도인지 지난 몇 년 겪어왔기 때문에 누구보다 방역에 철저히 하고 있다. 지난해 코로나19가 최고점에 이르렀을 때와 같이 본인의 농가뿐만 아니라 지역 산란계 농가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다.  

이제는 소비자가 산란계 농가를 구원할 때이다. 국내산 계란에 대한 지원은 없고 수입산 계란만 지원하는 역차별을 해결하기 위해 소비자 나서야 한다. 계란 산업의 발전을 위해 생산비 상승을 감안하여 계란가격은 그에 맞게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와 농가는 한마음으로 방역에 힘쓰고 이에 알맞은 정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정원, 농업·농촌 혁신의 장...‘2025 대한민국 농업박람회’ 성황리에 마무리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가 주최하고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원장 윤동진)이 주관한 ‘2025 대한민국 농업박람회’가 지난 9월 25일부터 28일까지 나흘간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열려 총 10만여 명의 관람객이 방문하며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제2회 인기 콘텐츠 어워즈’ 시상식을 마지막으로, 모든 행사를 마무리한 ‘2025 대한민국 농업박람회’는 ‘농업·농촌 혁신으로 만드는 성장과 행복’을 주제로 △농업과 삶 △농업의 혁신 △활기찬 농촌 △색깔 있는 농업 등 4대 주제관과 야외마켓을 운영하였으며, 166개 농축산 단체·협회, 기업, 기관 등이 참여했다. 첨단 농업기술 전시와 농정 성과, 미래세대 체험 프로그램 등 다채로운 콘텐츠가 펼쳐진 박람회장에는 라트비아 야니스 베르진스 대사 및 미국, 태국, 필리핀 대사관 농무관이 개막식에 참여 하며, 대한민국 농업에 대한 관심을 내비쳤다. 또한 프랑스, 일본, 베트남 등 약 100여 명의 외국인 유학생으로 구성된 ‘K-농 아카데미 프로그램’을 특별 운영하여, 다양한 농업·농촌 전시와 체험을 즐기며 K-농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인하고, 우리 농업 문화를 생생하게 접하였다. 이번 박람회는 ‘K-농업혁신관’을 특별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정원, 농업·농촌 혁신의 장...‘2025 대한민국 농업박람회’ 성황리에 마무리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가 주최하고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원장 윤동진)이 주관한 ‘2025 대한민국 농업박람회’가 지난 9월 25일부터 28일까지 나흘간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열려 총 10만여 명의 관람객이 방문하며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제2회 인기 콘텐츠 어워즈’ 시상식을 마지막으로, 모든 행사를 마무리한 ‘2025 대한민국 농업박람회’는 ‘농업·농촌 혁신으로 만드는 성장과 행복’을 주제로 △농업과 삶 △농업의 혁신 △활기찬 농촌 △색깔 있는 농업 등 4대 주제관과 야외마켓을 운영하였으며, 166개 농축산 단체·협회, 기업, 기관 등이 참여했다. 첨단 농업기술 전시와 농정 성과, 미래세대 체험 프로그램 등 다채로운 콘텐츠가 펼쳐진 박람회장에는 라트비아 야니스 베르진스 대사 및 미국, 태국, 필리핀 대사관 농무관이 개막식에 참여 하며, 대한민국 농업에 대한 관심을 내비쳤다. 또한 프랑스, 일본, 베트남 등 약 100여 명의 외국인 유학생으로 구성된 ‘K-농 아카데미 프로그램’을 특별 운영하여, 다양한 농업·농촌 전시와 체험을 즐기며 K-농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인하고, 우리 농업 문화를 생생하게 접하였다. 이번 박람회는 ‘K-농업혁신관’을 특별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