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한중FTA 졸속 타결… 농민들 강력규탄!!!

한농연 전농 등 농민단체들, 한중FTA 국회 비준에 앞서 농어업피해 대책 촉구

한중FTA 졸속 타결강력규탄!!!

농민단체들, 한중FTA 국회 비준에 앞서 농업피해 대책 촉구

 

1110일 한중 정상회담에서 양국간 자유무역협정(FTA)이 실질적으로 타결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농업계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농축산물 협상의 경우 쌀은 완전 제외하고, 농수산물 분야와 관련해서는 농수산물 자유화율을 품목수 기준 70%, 수입액 기준 40%로 합의하였다.

그러나 실질적인 양허제외는 30%에 불과해 실효성에 의문이 든다. 특히 대두와 참깨, 팥 등의 농산물은 저율관세할당 품목에 포함돼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또한, 박근혜 정부가 확실한 피해대책도 마련하지 않고 정상회담에 맞춰 한중 FTA 협상을 조급하게 타결했다는 사실을 비판하지 않을 수 없다 등 비난의 수위를 늦추지 않고 있다.


여기에 한중 FTA와 더불어 영연방 3개국과의 FTA 추진, 쌀 관세화 전환 등 개방 농정이 가속화됨에 따라 농업인들의 불안감이 더욱 커지고 있다.이와관련 한농연은 농업인이 납득할 만한 피해대책을 강력히 요구하며 전국 300만 농업인은 국회 비준 저지를 위해 전면 투쟁에 나설 것을 강력히 경고하고 있다.


한편, 내년도 국가 전체 예산 증가율 5.7%에 대비, 농업 예산 증가율은 3.7%에 불과한 실정이다. 2000년부터 2014년까지의 수치를 놓고 보더라도, 국가 전체 예산이 연평균 7.5%씩 늘었음에도 농업 예산은 물가상승률에도 못 미치는 2.4%에 그쳐 농업을 지키겠다는 현 박근혜 정부의 농업보호 의지에 의문을 표시하는 등 농민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다음에 계속> 기동취재팀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박수진 기획조정실장, 양파 주산지에서 ‘농업수입안정보험’ 중요성 강조
박수진 농림축산식품부 기획조정실장은 10월 16일 양파 주산지인 무안을 방문하여 농업수입안정보험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농업수입안정보험은 자연재해, 화재 등으로 인한 수확량 감소와 시장가격 하락 등으로 인해 보험 가입연도 수입(收入)이 과거 평균 수입(收入)의 일정 수준 미만으로 감소하는 경우, 감소분 전액을 보상하는 제도이다. 2015년 도입하여 시범 운영해 오다 2025년부터 전국 대상으로 본격 운영에 착수하였다. 총 15개 품목에 대해 운영하며, 콩, 마늘, 양파, 보리 등 9개 품목은 전국 대상으로, 벼, 봄감자, 가을배추 등 6개 품목은 일부 주산지 중심으로 시범 운영 중이다. 15개 품목 18개 상품 중 현재까지 12개 상품이 판매 완료되었으며, 10~11월 중 양파, 마늘, 보리 등을 포함한 6개 상품이 판매될 예정이다. 박수진 기획조정실장은 현장에서 양파 생산자단체 등을 만나 “양파, 마늘 등 가격 변동성이 큰 품목의 경우 농업수입안정보험이 매우 효과적인 경영안정장치가 될 수 있으며, 11월까지 양파, 마늘 등 6개 품목의 가입기간이 진행되므로 많은 관심과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보다 많은 농업인이 제도를 이용할 수 있게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