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국내 ‘종자산업’ 5천억시장으로 불어나

국립종자원, 2017년 종자업 실태조사 결과 발표에서 드러나

국립종자원은 종자산업법 제4조 및 통계법 제18조에 따라 지난해 실시한 종자업실태조사(’16년 기준결과를 발표했다종자업실태조사는 ’16년 국가통계로 처음 승인받아, 1차년도 본 조사 결과를 지난해 공표한 바 있다. 이번 공표자료는 ’16 12월 기준 종자업 등록업체를 대상으로 한 2차년도 결과이며올해는 3차년도 조사를 추진한다.

아울러종자산업법 개정(‘16.12)으로 육묘업 등록이 제도화됨에 따라, ’18년에는 육묘업실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국가승인통계로서의 적합성에 대해 검토할 계획이다.

이번 조사는 종자산업 전반에 관한 조사를 통해 종자산업 육성 및 관련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확보를 목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종자업실태조사의 주요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 ’16 12 31일 기준 종자업을 등록한 1,490개 업체 중 실제 영업 중인 1,345개 업체(폐업휴업복수 등록 등을 제외) 대상으로 실시했으며이 중 1,337개 업체(99.4%)가 응답했다종자업 실태조사는 통계청 소속 각 지방청의 조사원들이 전국의 종자업체를 직접 방문해 조사(통계대행 현장조사, ‘17.8.8.9.4.)한다. 

조사항목종자업체 조직·판매규모 및 품목별(채소·과수·화훼·버섯·식량·산림·특용/사료/기타시장규모 등 산업 전반에 걸친 기초통계와 함께연구개발(R&D), 수출관련 항목 등을 추가함으로써 종자산업에 대한 농가와 업계의 이해와 관심을 높이는데 기여할 예정이다.

 

산업규모= 2016년 종자업체 1,345곳의 종자 판매액은 5,408억원이며상토 등 종자 이외 매출액을 합한 총 판매액은 9,469억원이다. 

산업구성= 종자 판매액이 5억원 미만인 업체는 1,175(87.9%)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5억원 이상 15억원 미만인 업체는 97(7.3%), 15억원 이상 40억원 미만인 업체는 46(3.4%), 40억원 이상인 업체는 19(1.4%)로 소규모 업체가 주류를 이뤘다. 개인 사업체가 895(66.9%)로 가장 많고회사법인 295(22.1%), 재단법인 등 회사 이외 법인 146(10.9%), 비법인단체 1(0.1%)이다. 

판매시장종자 판매 실적이 있는 업체 1,157(전체의 86.5%)  국내 판매만 하는 업체가 1,084(93.7%)로 내수가 대다수를 차지하며해외 판매만(수출)하는 업체는 5(0.4%), 국내·해외 판매를 병행하는 업체는 68(5.9%)로 조사한다.

판매액(전체 5,408억원기준 국내 판매액은 4,722억원(87.3%), 수출액 655억원(12.1%), 해외 생산·판매액 31억원(0.6%)이다. 

수출입= 종자 교역규모 1,216억원 중 수출액 655억원수입액 561억원이며수출업체는 77(5.8%), 수입업체는 153(11.4%)이다.

품목별 수입액은 채소(74.0%), 특용·사료·기타(11.4%), 화훼(11.0%) 순이다. 수출액은 채소 종자가 628억원으로 전체의 95.9% 차지한다국내에서 품종을 육종하여 채종을 해외에서 한 경우(해외채종)는 제외된다. 

연구개발신품종 개발에 투자하고 있는 종자업체는 315(23.6%)이며종사자 10,475명 중 관행육종 종사자는 992(9.5%), 생명공학 종사자는 179(1.7%)이다. 업체의 연구비 총 투자금액은 746억원이며이 중 자체개발비 637억원(85.3%), 수탁개발 88억원(11.8%), 위탁개발 21억원(2.8%)이다. 육종인력은 15 이상 경력자가 31.1%로 가장 높았고연령별로는 40대와 50대가 각각 27.3%, 대졸 종사자는 48.2%이다. 

정부지원지원희망 분야는 운영자금융자 43.0%, 시설 및 연구장비 임대·공동활용 20.9%, 종자육종관련 기술교육 12.3% 순이다. 국립종자원 관계자는종자업 실태조사의 국가통계 승인 이후 2차년도에 걸친 조사로 종자산업에 대한 시계열적인 변화를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향후 실시되는 육묘업 실태조사도 국가통계 승인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관련 정책 수립학계·업계의 통계자료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종자산업 통계 D/B를 구축할 계획임을 밝혔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금원, '농림수산식품모태펀드' 추가출자... 운용사 5월 27일까지 접수
농림수산식품모태펀드(이하 ‘농식품모태펀드’) 투자관리전문기관인 농업정책보험금융원(원장 서해동, 이하 ‘농금원’)은 민간운용사를 대상으로 5월 12일(월), 농금원에서 ‘2025년 추가 출자사업 설명회’를 개최했다. 설명회에는 농식품분야 투자에 관심 있는 총 22개 운용사가 참여하였다. 우선 출자사업분야에 대한 설명이 진행되었다. 출자분야는 △농식품일반(300억원), △세컨더리(300억원) 및 △민간제안(100억원) 등 3개 분야로 700억원 규모로 조성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출자사업에는 기존 정해진 투자분야에 운용사가 지원하는 대신 운용사가 자신있는 분야를 자유롭게 제안하는 방식인 △민간제안펀드가 신설되었다. 이밖에도 농식품 전·후방 산업에 투자하는 △농식품일반펀드, 중간회수시장 활성화를 위한 △세컨더리펀드를 통해 농식품산업의 투자를 촉진하고 유동성을 확대한다. 운용사 선정을 위한 서류접수는 5월 27일까지 진행된다. 이후 1차 심사(서류 심사 및 현장 실사)와 2차 심사(운용사 제안서 PT)를 거쳐 6월 중 운용사 선정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농금원 박춘성 본부장은 “새로이 도입한 민간제안펀드 등 민간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적극 활용하여 농식품산업의 혁신성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김인중 농어촌공사 사장 취임사… "사람 북적이는 농어촌 만들어"
김인중 한국농어촌공사 신임 사장이 15일 전남 나주 본사에서 취임식을 갖고 농어업과 농어촌 발전을 위한 비전을 제시했다. 김인중 신임 사장은 취임사에서 “우리 농어업의 역사는 도전의 연속이었으며, 그 최일선에는 항상 농어촌공사가 있었다”라며, “그동안 쌓아온 전문성과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도전에 임직원과 함께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어 김인중 신임 사장은 ▲사람이 북적이는 지속 가능한 농어촌 조성 ▲안으로는 흔들림 없는 농업, 밖으로는 세계로 뻗어나가는 농업 구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미래 농어업 기반 마련 ▲국민과 농업인에게 사랑받는 공사로 도약이라는 4대 경영 방향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농촌다움 회복, 농지은행 확대, 밭작물 생산 기반 정비, 해외사업 확장, 안정적인 농업용수 공급 체계 마련, 스마트 기술의 농업 분야 확대 적용, 국민 체감하는 성과 창출 등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김인중 신임 사장이 30년간 쌓아온 농정 분야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국농어촌공사는 사회 전반의 급격한 패러다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어업·농어촌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끄는 공기업으로의 본격적인 도약을 시작하게 된다. 김인중 신임 사장의 임기는 2025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