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치유•여행

농촌 삶의 질 향상은 ‘농촌주택 혁신'부터 시작

- 농촌진흥청-한국농촌건축학회, 22일 ‘농촌 재생! 농촌주택의 재탄생’ 토론회 열어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 국립농업과학원은 한국농촌건축학회와 함께 22일 ‘농촌 재생, 농촌주택의 재탄생’을 주제로 온라인 학술 토론회를 연다.
국립농업과학원은 2030 미래 발전전략을 세우고 ‘살고 싶은 농촌 및 포용적 성장환경 조성’을 목표로 청년 주도의 디지털 농촌을 만들기 위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농촌 재생, 농촌다움을 살리는 농촌 만들기는 삶의 공간인 농촌주택의 혁신적 변화에서 시작된다’는 의제를 바탕으로 최근 농촌주택의 디자인, 소재 등 다양한 우수 사례를 공유한다.

먼저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주택정책 현황과 성과 발표를 시작으로 △디지털 시대 농촌주택과 적용기술 △농촌다움을 살리는 한옥건축 △농촌경관을 만들어가는 건축디자인 △농촌건축의 다양한 소재 개발 등 주제발표가 있을 예정이다.
이어 종합토론 시간에는 농촌건축의 디자인, 소재의 변화가 농촌다움과 삶의 질 향상으로 연계, 발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의견을 나눈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김상남 원장은 “이번 학술 토론회가 농촌다움을 살리고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가장 기본이 되는 농촌건축의 발전 방향을 찾고, 미래 농촌의 모습을 그려보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앞으로 디지털 기반 농촌공간재생 연구 추진을 통해 농촌다움이 보전되고, 스마트한 미래 농촌을 구현하는데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올해 미국 조지아주 엘리제이시에 미국인 생활환경을 고려한 한옥을 수출하고, 60채 규모의 한옥단지를 조성하고 있는 한국농촌건축학회 남해경 회장은 “이번 학술대회에서 제안된 의견을 토대로 농촌진흥청과 함께 농촌주택의 혁신적 변화를 모색하여 농촌 활성화는 물론 청년 일자리 창출까지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정부 양곡 2.5만톤 추가 방출... 15일까지 물량신청 서둘러야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쌀 수급 안정을 위해 정부양곡(벼)을 추가로 2.5만 톤(정곡) 공급한다고 밝혔다. 지난 8월 25일부터 공급한 정부양곡 3만 톤의 판매 현황을 조사한 결과, 9월 5일까지 2주 동안 공급 물량의 절반 이상을 판매 완료하였고, 잔여 물량 또한 2주 내외 공급 가능한 물량으로, 햅쌀(중만생종)이 본격적으로 출하되는 10월 중순까지 지역에 따라 1~2주일간의 원료곡이 부족한 상황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올해 조생종 수확 시기에 잦은 비로 인한 조생종 출하가 늦어져 구곡에 대한 산지유통업체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농식품부는 이번에 추가로 2.5만 톤(정곡)을 공급하여 산지유통업체의 원료곡(벼) 확보 애로를 충분히 해소하여 쌀 수급 안정을 도모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번 정부양곡 공급 대상은 ’24년 정부 벼 매입자금 지원 대상인 산지유통업체와 연간 매입물량이 3천 톤 이상인 임도정업체(이하 대상업체)이다(지난 8월 3만 톤 정부양곡 대여 공급대상과 동일). 대상업체 중 정부양곡 공급을 희망하는 업체는 농협경제지주 공지에 따라 9월 15일까지 희망 물량을 제출하면 된다. 대상업체의 전년도 쌀 판매량 비중을 감안하여 대여 물량이 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