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농협사료 안심시리즈 탁월!...제주 '슈퍼한우 품평회' 입증

'삼성농장' 한우 생체중 1,265㎏으로 기존 최고기록 30㎏ 이상 웃돌아...육질등급 1++, 도체중 785㎏, 등심단면적 161㎠ 최고수준

- 안병우 대표 “사양관리 프로그램 사육 중요...제주 축산업발전에 더욱 힘쓰겠다”

- 농협사료 안심시리즈  시식회와 품평회 통해 우수성 입증

 

 

농협사료(대표 안병우)와 서귀포시축협(조합장 김용관)은 지난 3월 18일 서귀포시축협 흑한우명품관에서 제주도 슈퍼한우 기록 달성을 축하하는 기념행사를 개최하였다.

 

이번 슈퍼한우는 서귀포시 남원읍 소재 삼성한우농장(대표 김계삼)에서 출하된 것으로 생체중 1,265㎏으로 기존 제주지역 최고기록(1,234㎏)을 30㎏ 이상 웃돌았다. 육질등급 1++(근내지방 9), 도체중 785㎏, 등심단면적 161㎠ 등으로 품질도 최고 수준을 자랑했다. 비록 국내 최고 생체중을 기록한 농협사료 이용농가인 영주 일월농장 황태락 대표(1,316kg)에 비해서는 생체중이 낮지만 등심단면적은 기존 148㎠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삼성농장은 개업이래 40년이 지난 현재까지 농협사료를 전이용하고 있으며, 특히 2년 전 출시한 농협사료 안심시리즈 사양관리 프로그램을 철저히 준수하여 급여하고 있다. 또한 국내산 라이그라스와 별도의 첨가제 급여없이 이번 성과를 이루어 농협사료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한편, 삼성농장의 최근 3년간 출하성적을 살펴보면 평균 28개월령 출하에 도체중 494kg, 등심단면적 100㎠, 근내지방도 7.8을 기록해 슈퍼한우 탄생이 우연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해 주고 있다. 김계삼 대표는 “우사시설이 노후화되어 인근에 농장을 신축하고 있으며, 앞으로 2세 경영을 통해 슈퍼한우 역사를 새로 쓰고 싶다”고 수상소감을 전했다.

 

기념식에서 김용관 조합장은 “제주도에서 슈퍼한우가 나오기까지 좋은 사료를 만들어준 농협사료와 철저한 사양관리를 해준 김계삼 대표에게 감사드린다”고 했다.

 

안병우 대표이사는 “농협사료를 전이용해 주시고 사양관리프로그램에 따라 성실히 사육해 주신 김계삼 대표에게 감사를 드린다. 제주도의 축산업 발전을 위해 더욱 힘쓰겠다.”고 했다.

이번 슈퍼한우는 서귀포시축협 축산물프라자에서 판매행사를 개최할 예정이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임차농' 보호 서둘러야!... ‘유령농부’가 웬말이냐?
실제 농사를 짓고 있음에도 농업인으로 등록하지 못한 채 제도 밖으로 밀려난 ‘유령농부’들이 있다. 바로 임차농들이다. 최근 임대차 계약서를 작성하지 못해 경영체 등록을 하지 못하는 임차농 사례가 확산되면서 7월 10일 국회 본청 앞에서 ‘임차농 보호를 위한 유령농부 국회 기자회견’이 열렸다. 이번 기자회견은 제22대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농해수위) 더불어민주당 간사 이원택 의원을 비롯해 문대림, 임미애, 임호선 의원(더불어민주당)과 김선교 의원(국민의힘)이 공동 주최하고, 9개 생산자·소비자단체(농정전환실천네트워크, 두레생협연합회, 전국농민회총연맹, 전국먹거리연대,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한살림생산자연합회, 한살림소비자생활협동조합연합회, 한국친환경농업협회, 환경농업단체연합회)가 주관했다. 무더위 속에서도 임차농 보호를 촉구하는 소비자와 생산자 50여 명이 참석해 목소리를 높였다. 기자회견 현장에는 유기농 인증이 취소된 단호박이 전시돼 눈길을 끌었다. 주최 측은 농부의 땀과 정성이 담긴 이 유기 재배 단호박이 바로 제도적 사각지대에 놓인 ‘유령농부’의 현실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또, 이재명 대통령이 ‘친환경농업 2배 확대’를 약속한 만큼 생산 기반인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임차농' 보호 서둘러야!... ‘유령농부’가 웬말이냐?
실제 농사를 짓고 있음에도 농업인으로 등록하지 못한 채 제도 밖으로 밀려난 ‘유령농부’들이 있다. 바로 임차농들이다. 최근 임대차 계약서를 작성하지 못해 경영체 등록을 하지 못하는 임차농 사례가 확산되면서 7월 10일 국회 본청 앞에서 ‘임차농 보호를 위한 유령농부 국회 기자회견’이 열렸다. 이번 기자회견은 제22대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농해수위) 더불어민주당 간사 이원택 의원을 비롯해 문대림, 임미애, 임호선 의원(더불어민주당)과 김선교 의원(국민의힘)이 공동 주최하고, 9개 생산자·소비자단체(농정전환실천네트워크, 두레생협연합회, 전국농민회총연맹, 전국먹거리연대,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한살림생산자연합회, 한살림소비자생활협동조합연합회, 한국친환경농업협회, 환경농업단체연합회)가 주관했다. 무더위 속에서도 임차농 보호를 촉구하는 소비자와 생산자 50여 명이 참석해 목소리를 높였다. 기자회견 현장에는 유기농 인증이 취소된 단호박이 전시돼 눈길을 끌었다. 주최 측은 농부의 땀과 정성이 담긴 이 유기 재배 단호박이 바로 제도적 사각지대에 놓인 ‘유령농부’의 현실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또, 이재명 대통령이 ‘친환경농업 2배 확대’를 약속한 만큼 생산 기반인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