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축평원, '전통시장 활성화 우수 활동사례 공모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 수상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장승진)이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서 추진한 ‘2020년 지역 상생을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우수활동 사례 공모전’에서 최우수상인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이번 공모전은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우수활동 사례를 발굴해 성과를 확산하고 벤치마킹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정부 및 공공기관 339곳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공모분야는 △기관특성을 활용한 교류활동 △지역경제 활성화 기여 △기관-시장 간 교류 프로그램 등 3개이며, 공모전에는 총 43개의 사례가 접수되어, 전문가 평가와 중소벤처기업부 최종 심의를 거쳐 최종 18개 기관을 수상기관으로 선정했다.

 

최우수상인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은 축평원의 ‘전통시장-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축산물품질평가원이 함께한 다다익선 캠페인’을 비롯하여 한국철도공사의 ‘전통시장과 함께하는 태백 힐링 트래킹 열차 여행상품’,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의 ‘코로나 관련 지역 사회공헌 활성화’ 등 총 3건이 선정됐다.

 

축평원은 전통시장 등 취약지구를 개선하기 위해 기관 고유사업과 연계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 하던 중, 지난 9월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한 바 있다.

1시장-1지원 매칭을 통해 축산물 가격비교서비스 참여를 지원하고 이력제 컨설팅 등 축산물 판매업종을 지원했다.

 

또한, 권역별 간담회와 기관합동 전국 릴레이 캠페인 등을 추진하여 전통시장 소상공인의 경쟁력 강화와 지역상권 활성화에 기여했다.

축평원 장승진 원장은 “이번 수상이 앞으로 우리원의 사업 추진과정에서 전통시장 등 취약계층을 한 번 더 돌아보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2021년에도 전통시장 활성화와 경쟁력 강화를 위해 다양한 지원 사업을 발굴하고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진청, ‘국산 밀 활용 제과·제빵 아이디어 공모전’ 성료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사)한국제과기능장협회와 국산 밀가루 소비 확대를 위한 2025년 ‘제9회 국산밀 활용 제과·제빵 아이디어 공모전’을 열고, 올해의 국산 밀 빵·과자를 선정했다. 지난 11월 6일 본청에서 열린 이번 공모전에는 (사)한국제과기능장협회 지회 추천을 받은 기능장 44개 팀이 참가했다. 사전에 제공된 고품질 국산 밀가루로 제품을 만들어 당일 출품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국산 밀가루는 농촌진흥청 ‘밀 산업 밸리화 조성 사업’으로 조성된 제분 시설에서 생산된 것으로, 제빵용(강력분) 밀은 ‘황금알’ 품종, 제과용(박력분) 밀은 ‘고소’ 품종이다. ‘황금알’은 단백질 함량이 약 12.2%로 높고, 글루텐 조성이 우수해 빵으로 구웠을 때 잘 부풀고 조직이 고르게 형성되는 장점이 있다. ‘고소’는 단백질 함량이 약 8.6% 정도이며, 과자로 구웠을 때 넓게 퍼지고 표면이 고루 잘 갈라져 제과 적성이 우수하다. 심사 결과, 제과 부문 최우수상은 단호박, 수수, 쑥, 메밀, 밤 등을 이용한 타르트와 과자를 선보인 김경선 씨(하레하레, 대전광역시)가 수상했다. 제빵 부문 최우수상은 김지은 씨(더슬로우 베이커리, 경남 진주)가 수상했다. 바닐라빈, 허브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대아청과, 제주 월동채소 경쟁력 강화 현장 간담회 개최
서울 가락시장 대아청과(주) (대표이사 이상용)는 11월 3일과 5일 제주 월동채소 생산자들을 대상으로 현장 간담회를 개최했다. 가락시장 대아청과 경매 현장에서 열린 이번 간담회에서는 본격적인 출하 시기를 앞둔 제주 월동채소의 작황과 현장의 어려움을 청취하고, 최근 품목별 거래 동향, 농산물 소비 트렌드, 선별 방법 등을 공유하며 제주 농산물의 판매 활성화를 위해 머리를 맞댔다. 간담회에는 제주 한림읍 양배추 생산자협의회 25명과 성산읍 무 생산자협의회 4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채소2동 경매 현장을 둘러본 뒤, 우수품 기준과 월동채소 출하시기 등 농산물 유통 전반에 대한 정보를 공유했다. 이상용 대표는 “제주 농산물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청정 제주의 이미지를 농산물에 접목한 상품화 과정을 통해 우수한 제주 농산물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것과 소비자가 원하는 시기에 필요한 양의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대아청과는 산지에서 필요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며, 제주 농산물의 판매 활성화와 경쟁력 제고에 적극 협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아청과는 지난 7월 제주 농업현장을 방문해 비료, 농약, 포장재 등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