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한우농가 ‘선제적 수급조절 필요성 공감’

미경산우비육지원사업 적합, 감축 적정 비율은 10%이내 응답비율 높아

 

전국한우협회는 ‘2020년 한우농가 의향조사’를 발표했다. 협회 회원농가 대상으로 매년 실시하는 이 조사는 올해는 자연종부, 수정란 이식, 질병 및 방역, 한우사육전망 및 수급관련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농가 의향을 설문형식으로 실시했으며 올해는 3,297명의 한우농가가 참여했다.

 

이번 발표에 따르면 2021년 이후 한우 경락가격 전망은 ‘2만원선을 유지(42.3%)’할 것이라는 낙관적인 판단이 하락세 유지(37.9%)의견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우 사육규모 관련해서는 감축한다는 응답(37.3%)보다 규모를 유지(38.4%)하거나 늘리겠다(9%)는 응답률도 더 높게 나타나 향후 가격폭락을 막기 위해 선제적 수급조절이 필요한 시점인 것으로 진단됐다.

 

사육규모 유지와 증가 의향이 높게 나타났지만, 자율적 수급조절 필요성에는 공감하여 참여하겠다는 응답이 78%로 높게 나타났다.

자율적 수급조절 참여시 수급조절 방식은 방식으로는 ‘미경산우 비육’(32%), ‘경산우 도태’(26.9%), ‘경산우 도태, 미경산우 비육, 송아지 입식조절 혼합’(25.3%), ‘송아지 입식조절’(15.1%)의 순으로 나타났다.

자율적 수급조절 참여시 적정비율로는 ‘5~10% 이내’(38.7%)를 가장 많이 선택했고, ‘5% 이내’(24.7%), ‘10% 이상’(20.3%)의 순이었다.

 

상대적으로 규모가 적을 것으로 추정되는 20대, 30대, 40대 등 젊은층을 중심으로‘사육두수 증가 의향’과‘자율수급조절에 참여하지 않겠다’라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사육규모가 작은 농가는 수급조절에 참여하기 어렵다는 응답률이 높아 대규모 농가 위주의 수급조절 정책 수립과 지속적인 계도 및 홍보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설문조사에서는 한우사육 및 전망관련 외에도 가축개량・질병 등에 관해서도 설문이 진행됐다.

한우농가들은 자연종부가 저능력 한우 원인이라는데 공감(60.2%)하면서 이를 금지(57%)시켜야 한다는 응답이 우세해 자연종부의 단계적 근절방안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강조됐다.

 

또한, 우수한 송아지를 생산하기 위한 한우 수정란이식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젖소에 이식하는 것은 반대하는 응답이 62.1%로 높게 나타나 한우 수정란 이식 사업과 기술보급의 확대, 수정란 이식기준의 설정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됐다.

구제역 백신접종을 전개체에 실시한다는 농가는 94.1%, 접종시 피해가 있다는 응답도 86.7%로 높게 나타났다. 주요 피해사례는 유사산(34.8%)과 발육부진(19.3%), 주사부위염증(16.1%) 등으로 나타났다.

 

전국한우협회는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협회 및 한우자조금 사업, 한우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대안 마련에 활용할 계획이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한우자조금 “소 한 마리가 지구를 살린다”
기후위기와 식량 불균형이 전 세계적 과제로 떠오른 지금, 한우산업은 생산의 영역을 넘어 지구 생태의 균형을 지키는 ‘지속가능한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는 한우 명예홍보대사 이명규 상지대학교 스마트팜생명과학과 교수와 함께, 한우를 농업·환경·사회와 연결하는 ‘순환의 축’으로 조명하며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 한우 인식의 전환,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 만들어 한우는 오랜 세월 우리 민족의 삶과 함께해왔다. 농경사회에서는 노동을 돕고, 생의 마지막에는 고기와 가죽, 비료로 인간에게 돌아왔다. 이 순환의 역사 속에서 한우는 사람과 사회, 환경을 잇는 생명 순환 체계의 일부였다.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시작은 ‘관점의 변화’에 있다. 한우를 생산 효율이나 가격 중심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인간과 자연, 사회가 맞물린 순환 구조의 핵심으로 인식해야한다. 관점이 바뀌면 행동이 달라지고, 행동이 달라지면 산업의 가치와 방향이 달라진다. 결국 한우를 어떻게 이해하느냐가 한우산업의 지속가능성을 결정짓는 출발점이다. ◆ 자원의 순환, 한우분뇨는 토양을 살리는 생태 자원 관점의 변화는 실천으로 이어진다. 그 첫걸음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