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식품제조업 ‘국산 원재료 사용률’ 5년째 31% 머물러

국산 원재료 사용량 2014년 대비 2019년 14.3% 증가

우리나라 식품산업의 성장에 따라 국산 원재료 사용량은 매년 증가하였지만 국산 원재료 사용률은 31.3%~31.5%로 5년째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영진 의원(더불어민주당, 수원병)이 최근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식품제조업의 국산 원재료 사용 현황’자료에 따르면 국내산 비중은 2014년 31.3%, 2015년 31.5%, 2016년 31.4%, 2017년 31.4%, 2018년 31.3%에 머물고 있다.

 

 

2018년 식품제조업의 국산 원재료 사용 현황(중분류 기준)

(단위 : 톤, %)

중분류

전체원료 사용량

국산원료 사용량

국산원료 사용비중

곡류 및 곡분

6,432,726

467,534

7.3

두류 및 서류(주정포함)

2,466,730

240,332

9.7

엽근채류

904,850

884,198

97.7

양념채소류

280,819

186,128

66.3

특용작물

47,113

20,848

44.3

과일채소류 및 과일채소류 유래식품 소재

373,485

283,189

75.8

축산물 및 축산물 유래식품

921,549

714,921

77.6

우유 및 유가공품

2,281,536

2,160,697

94.7

전분류

247,106

16,315

6.6

당류

2,591,727

91,557

3.5

식용유지류

393,604

6,225

1.6

커피 및 커피류 식품 소재

92,416

0

0

코코아 가공품류

24,096

0

0

식초류

12,208

6,916

56.7

기타

41,630

27,877

67.0

(자료출처 : 2020년 농림축산식품부 국정감사 자료)

 

2018년 식품제조업의 국산 원재료 중분류별 사용현황을 살펴보면 국산 원료 사용비중이 90% 이상인 품목은 엽근채류, 우유 및 유가공품, 김, 인삼, 홍삼, 계란 등 23개 품목으로 이들의 국산 원료 사용량은 375만 톤이며 전체 국산사용량 560만 톤의 67.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국산 원료 사용비중 20% 이하 품목은 원당, 소맥분, 옥수수, 타피오카, 주정, 대두, 백설탕, 포도당류 등 46개 품목으로 조사됐다. 특히 커피 및 커피류 식품 소재, 코코아 가공품류는 국산원료 사용 비중이 0% 였다.

 

<표-1> 식품제조업의 국산 원재료 사용 현황

(단위: 만톤, %)

구 분

전체원료 사용량

국산원료 사용량

국내산 비중

2014

1,565.2

489.3

31.3

2015

1,634.0

515.3

31.5

2016

1,651.2

518.9

31.4

2017

1,715.1

538.2

31.4

2018

1,787.1

559.8

31.3

(자료출처 : 2020년 농림축산식품부 국정감사 자료)

 

한편 식품산업의 성장으로 국산 원재료 사용량은 2014년 489만톤, 2015년 515만톤, 2016년 519만톤, 2017년 538만톤, 2019년 559만톤으로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였고 국산 원재료 사용량은 2014년에 비해 2019년 14.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김영진의원은 “식품산업의 성장에 따라 국산 원재료 사용량은 매년 증가하였지만 국산원재료 사용률은 31.3% ~ 31.5%로 5년째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국산농산물의 식품산업 원재료 사용량의 증가는 국내 농업 발전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므로 식품산업계의 수요에 맞춘 다양한 식품산업‧외식산업‧급식산업의 원료가공기술 및 안정적 공급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면서,

 

“이를 위해 식품 원재료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계약 재배 확대, 식품 가공용 품종 개발 및 보급 확대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김영진의원은 “식품제조가공업의 원재료 사용률뿐만 아니라 로컬푸드 등 다양성과 신선도를 강조한 외식산업계의 원재료로 사용 확대를 지원하고 외식산업용 재료로의 가공률을 높일 필요가 있다”면서

 

“이를 위해 고품질 식품개발을 위한 원재료의 다양화, 가공기술의 표화 기술 수준 고도화, 농축수산물 반가공 소재화 지원을 강화하는 등 정책방향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 농업·임업·수산업 단체장 간담회...종합 결과보고회 개최
대통령 직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위원장 김호)는 11월 25일 ‘농업·임업·수산업 단체 간담회 결과보고회’를 개최하고, 농업·임업·수산업 단체 간담회에서 제기된 현장 건의사항에 대한 조치계획과 진행 상황을 관계 단체장들과 점검했다. 이번 보고회는 신임 김호 위원장 취임 후 8월부터 농민의길·한국종합농업단체협의회·한국농축산연합회·축산관련단체협의회·전국먹거리연대 소속 49개 농업인 단체 대상 연합단체별 간담회 5회, 청년농업인 대상 간담회 1회, 임업 15개 단체 대상 간담회 1회, 수산업 분야 10개 단체와 경북 지역 6개 수협 조합 대상 간담회 2회를 통해 제기된 건의사항에 대한 조치계획을 한자리에서 공유한 자리였다. 위원회는 농업 분야에서 농업·농촌 관련 정책에 대해 타 부처와의 조정 기능을 강화해 달라는 농업 단체의 건의에 따라, 다양한 범부처 연계 과제 발굴과 정책 연구를 추진하기로 했다. 또한, 농축수산물이 물가 상승의 주요 요인이라는 오해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 개선 방안 등을 분과위에서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정착률 제고를 위한 청년농 육성 지원정책 등 16건의 건의사항에 대한 조치계획을 보고했다. 임업 분야에서는 입목 재해보험 도입 및 복구비 지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이기홍 한돈협회장 “위기의 한돈산업 극복 위해 앞장설 것"
(사)대한한돈협회(회장 이기홍)는 지난 11월 25일 서울 서초구 aT센터 5층 그랜드홀에서 ‘대한한돈협회 제20·21대 회장 및 제12·13대 한돈자조금관리위원장 이·취임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전일 충남 당진 등에서 발생한 ASF(아프리카돼지열병) 확진과 이에 따른 48시간 일시이동중지(Standstill) 명령 발동으로 인해, ‘비상 방역 체제’ 속에서 치러졌다. 협회는 일반 회원 농가의 참석을 철저히 제한하고, 협회 임원과 외부 내빈만을 초청하여 행사를 축소 개최했다. ▶ 이기홍 신임 회장, “현장에서 답 찾는 협회 만들 것” 전국 9개 도협의회와 협회를 상징하는 협회기 전수식을 시작으로 이날 취임식이 시작됐다. 한돈산업의 화합과 발전을 상징하는 이 순간, 참석자들은 큰 박수로 새로운 출발을 축하했다. 이기홍 제21대 대한한돈협회장 및 제13대 한돈자조금관리위원장은 경북 고령에서 '해지음 영농조합법인'을 운영 중이며, 대한한돈협회 고령지부장, 중앙회 부회장, 환경대책위원장, 한돈자조금 대의원회 의장 등을 역임했다. 한돈산업의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전문가적 활동을 해온 이기홍 회장은 특히 한돈산업의 국제 경쟁력 제고와 한돈농가의 권익 향상을 위해 헌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