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세계 경마 360조 시장도 위기... 각국 말산업 유지에 안간힘

비대면 전략으로 말산업 지탱 위해 세계 각 국 온라인 발매 기반 無관중 경마 지속
한국은 경마중단으로 경주마 수출까지 중단, 외신도 향후 경마재개에 관심

경마산업은 생산, 경매, 발매산업과 유기적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경마시행이 차질을 빚게 되면 1차 산업인 말 생산산업이 약화되고, 사료‧설비 제조와 같은 2차 산업과 경마서비스, 관광산업과 같은 3차 산업이 모두 흔들린다. 세계 각 국의 경마산업 주체들은 말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비대면 전략’으로 코로나 19에 대처하고 있다.

 

6월 16일부터 5일간 개최된 영국의 로얄애스콧은 온라인 발매에 기반한 무관중 경마로 진행되었다.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경마산업 고용률 유지를 위해 무관중 개최를 적극 지지했다. 로얄애스콧은 전파를 타고 120여개국에 중계되었고 전년대비 50% 증가한 베팅규모를 기록했다.

 

 

일본은 관중이 없는 경마를 시행하며 오히려 매출이 올랐다. 경마팬들은 전화와 인터넷으로 마권을 살 수 있다. 일본경마중앙회(JRA)에 따르면 2020년 상반기 매출은 1조 4,753억엔(한화 16조 3,932억 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5% 증가했다. 홍콩도 ‘비대면’ 발매로 날개를 달았다. 코로나19 광풍에도 2019-2020 시즌은 역대 3번째 매출을 기록했다. 홍콩자키클럽은 ‘세금ATM’이라는 별칭답게 121.1억 홍콩달러(한화 1조 8,503억 원)를 조세로 납부하며 올해도 홍콩 경제를 이끌었다. 코로나19 발생 초기 홍콩은 지점(장외발매소)을 폐쇄하며 강력한 방역조치를 취했기 때문에 매출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온라인 발매 덕택에 직전 시즌 대비 매출 감소는 2.6%에 머물렀다.

 

온라인에 기반하되 부분적으로 관중을 입장시켜 위드코로나 시대에 적응하는 곳도 있다. 미국 뉴저지주 몬머스 경마장은 보건당국의 허가를 받아 7월부터 2000명 입장을 허용했다. 일리노이주 알링턴 경마장도 수용인원의 1%인 300명을 입장시키고 있다. 알링턴 경마장 관계자는 “매출의 85%가 온라인발매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매출에 끼치는 영향은 미미하지만 응원의 열기를 가미한다는 뜻에서 부분입장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호주 퀸즈랜드주는 무관중 경마를 시행하다가 6월 22일부터 일부 관중 입장을 허용했다. 퀸즈랜드주의 둠번 경마장과 경마자 이글팜 경마장은 주 정부가 규정한 1인당 4제곱미터, 2미터 기준에 따라 관중을 입장시키고 있다. 2016년 레이싱퀸즈랜드에 따르면 호주 퀸즈랜드주 경마산업의 경제적 가치는 9억 6천만 달러(한화 1조 1,423억)에 이르고 정규직 종사자만 7,500명을 넘는다. 지역경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주 정부에서도 경마산업을 지속 시행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1920년부터 시작되어 백년 역사를 자랑하는 프랑스 개선문상도 5천명 관중만을 받는다. 평소 5만명이 10월 첫째주 일요일에 파리 롱샴 경마장을 찾았지만 올해는 5천명만 현장에서 경마를 관람할 수 있고 그 외는 경주실황 중계를 통해 온라인으로 대회를 즐길 수 있다. 프랑스는 락다운 기간동안 경마를 중단했다가 5월 무관중으로 경마를 재개했고 7월부터는 5천명으로 입장인원을 제한하여 경마장을 개장했다. 온라인 매출은 2분기 연속 전년대비 증가추세다.

 

경주마 경매시장도 대면에서 비대면으로 공급방식을 넓히고 있다. 북미에서 가장 오래된 경매 회사인 패시그-팁톤社는 국가 간, 주(州) 간 이동제한을 고려하여 응찰수단을 온라인과 전화까지 확대했다. 보이드 브라우닝 회장은 “말(馬)이든 부동산이든 자동차든 품질만 좋다면 수요는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매년 구매자들의 구매환경에 따라 공급방식에 있어 점진적인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고 당세마(6개월령) 경매를 앞둔 소감을 밝혔다.

 

한편 한국은 무고객으로 시행하고 있던 경마마저 중단되었다. 비대면 발매가 허용되지 않는 한국에서의 무고객 경마는 곧 산업으로 재투자할 재원이 고갈됨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미국의 폴릭리포트, 포커스GN과 호주의 레이싱앤스포츠, 저스트홀스레이싱 등 관련 외신들도 한국 경마의 중단 소식을 보도하며 경마중단이 한국 말산업과 해외 경주마 수출에 끼치는 영향에 주목했다.

 

 

특히 호주의 저스트홀스레이싱紙는 한국과 일본, 홍콩을 비교하며 온라인 발매 현황, 경마산업이 국가재정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 보도하는 등 최근 한국 경마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는 호주의 관심이 컸다. 올해 한국에서 무고객 경마 시행기간 동안 호주의 한국경주 실황 매출액은 11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해썹인증원, 미생물 실험실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재인증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인증제’에서 지난달 미생물 실험실의 재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이번 재인증으로 해썹인증원의 미생물 및 이화학 실험실이 모두 ‘안전관리 우수연구실’로 계속 지정되며, 연구실 안전관리 역량과 체계적인 운영 수준을 다시 한번 인정받았다.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인증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국내 대학과 연구기관의 연구실 안전수준을 높이고, 표준 모델을 확산하기 위해 운영하는 제도이다.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안전환경 시스템(30점) ▲안전 활동 수준(50점) ▲안전관리자의 안전의식(20점) 등 주요 항목에서 80% 이상의 점수를 얻고, 현장심사와 심의 절차를 통과해야 한다. 한편, 해썹인증원은 2023년 시범운영을 시작으로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견학 프로그램’을 통해 연구실 안전문화 확산에도 앞장서고 있다. 2024년부터 2025년까지 2년간 총 10개 기관, 59명(학생, 각 기관 안전관리 담당자, 민간시험기관 등)을 대상으로 견학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연구실 안전관리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비상 대응 훈련을 직접 체험함으로써, 연구현장의 실질적인 안전 역량 향상과 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대아청과, 제주 월동채소 경쟁력 강화 현장 간담회 개최
서울 가락시장 대아청과(주) (대표이사 이상용)는 11월 3일과 5일 제주 월동채소 생산자들을 대상으로 현장 간담회를 개최했다. 가락시장 대아청과 경매 현장에서 열린 이번 간담회에서는 본격적인 출하 시기를 앞둔 제주 월동채소의 작황과 현장의 어려움을 청취하고, 최근 품목별 거래 동향, 농산물 소비 트렌드, 선별 방법 등을 공유하며 제주 농산물의 판매 활성화를 위해 머리를 맞댔다. 간담회에는 제주 한림읍 양배추 생산자협의회 25명과 성산읍 무 생산자협의회 4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채소2동 경매 현장을 둘러본 뒤, 우수품 기준과 월동채소 출하시기 등 농산물 유통 전반에 대한 정보를 공유했다. 이상용 대표는 “제주 농산물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청정 제주의 이미지를 농산물에 접목한 상품화 과정을 통해 우수한 제주 농산물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것과 소비자가 원하는 시기에 필요한 양의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대아청과는 산지에서 필요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며, 제주 농산물의 판매 활성화와 경쟁력 제고에 적극 협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아청과는 지난 7월 제주 농업현장을 방문해 비료, 농약, 포장재 등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