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신기술

[기획특집] 한국형 '구제역 백신' 종자바이러스 개발 어디까지 왔나?③

돼지에서 안전성이 향상된 피내접종용 구제역 백신 개발 현황
"자체 개발한 종자바이러스 이용하여 피내접종 전용 백신 개발 중"
국내 판매중인 무침주사기 대상으로 현장 평가하고, 사용 표준화 연구도 진행

[기/획/특/집] 한국형 '구제역 백신' 종자바이러스 개발 어디까지 왔나?...③돼지에서 안전성이 향상된 피내접종용 구제역 백신개발 현황

 

우리나라는 2010년 대규모의 구제역 발생 이후 전국적으로 백신을

접종하는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구제역 백신은 근육 접종용으로 접종과정에서의 주사기의 물리적 손상, 미생물 오염, 백신의 부형제(아쥬반트) 등의 원인으로 접종반응(일명 이상육이라 불리는 근육손상)이 발생하여, 농가가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

 

농림축산검역본부 구제역백신연구센터에서는 구제역 백신 국산화와 더불어 안전성 향상을 위해 다양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 중이다.

접종반응을 감소시키기 위한 해결책으로 주목받는 것은 무침 주사기를 이용한 피내접종용 구제역 백신을 개발하여 보급하는 것이다.

 

무침 주사기를 이용한 구제역 백신의 피내접종은 피내에 면역세포가 다량 분포하여 면역형성에 유리하고, 주사침의 부작용, 세균 오염 최소화, 돼지에 고통 감소와 더불어 근육 손상이 적어 안전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구제역백신연구센터는 피내접종에 적합한 부형제(아쥬반트)를 선별하고, 구제역 백신 국산화를 위해 자체 개발한 종자바이러스를 이용하여 피내접종 전용 백신을 개발 중이다. 또한, 국내 판매중인 무침주사기를 대상으로 현장 평가를 하고, 사용 표준화 연구도 수행 중이다.

 

 

향후, 개발될 국산 피내접종용 구제역 백신은 국내 농가 피해를 경감시키고 세계적인 품질 경쟁력을 갖출 것으로 기대한다. <농림축산검역본부 구제역백신연구센터 수의연구사 박성한 박사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치유농업, 농가 이전·사업화 실증으로 확산 기반 구축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은 올해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치유농업 프로그램(4종)의 농장이전(6개소) 및 사업화 실증을 완료하고 22일 오송 H호텔에서 결과보고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실증사업은 농진청이 개발한 치유농업 프로그램을 지역 수요농장(6개소)에 맞춤형으로 이전하여 서비스 역량을 강화하고 지역단위 사업화모델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추진됐다. 운영기관인 농진원은 지난 3월 농촌진흥청에서 치유농업 프로그램 설명회를 개최했고, 6개 지방농촌진흥기관과 협력하여 실증농장과 지역 내 치유대상 희망자에게 적용하는 사업화모델을 11월까지 약 9개월간 구축해 왔다. 이번 사업에서 농장에 이전된 농진청 프로그램(4종)은 경도인지장애 및 소외노인을 비롯하여 암진단 경험자와 일반인까지 다양한 계층의 대상자(122명)가 참여하였고, 의미 있는 치유 효과가 재현됨을 확인했다. 실증과정에서 농진청이 개발한 치유농업 프로그램은 각 농장이 가진 자원(농업자원, 시설, 인적역량 등)에 맞춤형으로 지원하여, 서비스 제공농장의 운영 역량을 높여 주었고, 프로그램 참여자와 치유대상 희망자를 연계해 준 지역 보건복지 수요기관 등의 만족도 또한 높아 향후 이전·실증 프로그램의 서비스 상용화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