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경제

마늘 생산량 전년보다 감소한 35만톤 예상

농업관측센터, 마늘 생산량 전년보다 9.6% 감소하고 평년보다 15.0% 증가 전망
정부 "수급대책 물량을 감안하면 생산량은 평년보다 감소하여 가격 상승" 기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본부에 따르면 올해 마늘 생산량은 전년보다 9.6% 감소하고 평년보다 15.0% 증가(4만 5천톤)한 35만톤으로 전망된다.

   

이번에 발표한 생산량은 농업관측본부에서 841개소 표본 필지를 대상으로 실측한 결과이며, 마늘 생육기 후반 급격한 기온상승 등 영향으로 생산단수가 전년보다 소폭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정부는 2차례 마늘 수급안정 대책으로 평년대비 과잉물량 4만 5천톤보다 많은 5만 7천톤을 시장격리 중에 있다.

농식품부는 6월 현재 정부 수급대책으로 3만톤이 시장격리되었으며, 정부·농협 수매, 수출 등 지속 추진으로 과잉물량 해소에도 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마늘 산지 분위기는 2차례에 걸친 정부의 수급안정 대책이 효과를 발휘하고 있고, 스펀지 마늘, 2차 생장(벌마늘) 등 생리장해, 녹병 등 병 발생 등으로 전년보다 생산단수가 감소함에 따라 거래가 증가하고 가격도 상승중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남지역 남도종 마늘 농협 수매단가는 1,800원/kg에서 2,300원/kg까지 인상되었으며, 민간거래 가격도 2,400원/kg까지 상승하였다.

   

 

아울러, 경남 남해군 남도종 마늘 농협 수매단가도 전년(2,500원/kg)보다 높은 3,000원/kg으로 결정(6월 24일)되었다.

 

수확 후 건조 중인 대서종 마늘의 창녕지역 산지공판장(7월 1일 개장) 예상 경락가격은 전년 1,500원/kg보다 상승한 최저 2,300원/kg, 평균 2,500∼2,600원/kg 이상을 전망하고 있다.

 

산지 거래가 미흡했던 의성지역 한지형 마늘도 크기가 작은 마늘 생산 비중 증가 등으로 수확량이 감소함에 따라 본격 거래가 시작되는 7월 7일부터는 가격 상승을 기대하는 분위기이다. 

 

농식품부 원예산업과장은 “올해 마늘 생산량이 당초 예상보다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지난 5월 발표한 수급대책을 차질없이 시행한다.”고 밝히면서, ”마늘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농가도 가능한 가격 상황에 따라 적절히 분산 출하하고, 산지공판장 출하 시에는 충분히 건조하고 표준규격에 맞게 잘 선별하여 줄 것"을 당부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반려동물행동지도사' 국가자격 시험 첫 시행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정황근)는 6월 9일 반려동물행동지도사 자격제도 운영방안 마련을 위한 ‘반려동물행동지도사 제도 도입 전담반’을 발족했다. 현재 행동지도 분야에는 다양한 민간자격(‘22년 59개)이 있으나 각기 다른 기준으로 운영되어, 체계적·객관적인 자격제도 운영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아울러, 반려동물 양육 가구 증가에 따른 반려견 행동교정(소음·안전사고 등), 입양 전 교육, 기질평가 등 반려동물 관련 정책적 수요 또한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농식품부는 동물보호법 개정을 통해 반려동물행동지도사 국가자격 제도의 기반을 마련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전담반을 구성하였다. 전담반은 송남근 동물복지환경정책관을 팀장으로 학계, 행동지도 전문가, 자격 전문가, 유관 단체 등 20여 명의 외부 전문가로 구성하였다. 자격시험 기획, 자격시험 관리·지원, 제도·활용 등 3개 분과로 운영되며, 분과별 과제발굴, 추진방안 마련 및 의견수렴 등 논의를 거쳐 연말까지 반려동물행동지도사 자격 운영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토대로 내년 상반기에 제1회 시험을 시행할 예정이다. 송남근 동물복지환경정책관은 “반려동물행동지도사 자격취득자들이 기질평가 등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