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농협,2020 설맞이 우리 과일 소비촉진 행사

 “설날, 실속 있고 정성가득한 우리 과일로 情을 선물하세요!”
미스트롯과 함께 우리 과일 소비촉진 홍보 및 새해 새희망 트리 메시지 달기

농협(회장직무대행 허식 부회장)은 14일 서울 서초구 농협하나로마트 양재점에서 농림축산식품부, 생산·소비자단체와 공동으로 2020 설맞이 우리 과일  소비촉진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지난해 잦은 태풍으로 인한 저품위 과일 생산량 증가와 경기 침체에 따른 소비 부진 등으로 판로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업인을 돕고, 평소 고마운 분들께 합리적인 가격과 우수한 품질의 우리 과일로 정성을 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날 행사에서는 ▲미스트롯과 함께하는 경자년 새희망 트리 소망쓰기, ▲미스트롯 초청 공연, ▲실속 있는 우리 과일 포토 홍보행사, ▲우리 과일로 만든 다양한 요리 전시 및 시식·나눔행사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또한, 농협은 농림축산식품부와 공동으로 특별 제작한 사과·배 등 선물세트 10만개를 오는 23일까지 전국 주요 농협 하나로마트에서 시중가격 대비 약 20% 할인된 가격에 판매할 예정이다.

 

특히 설 장보기에 어려움을 겪는 맞벌이 부부 및 직장인 등을 위해 농협몰에서도 20% 할인된 가격에 우리 과일 알뜰 선물세트를 구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농협 김원석 농업경제대표이사는 “지난해 잦은 태풍에 따른 저품위 과일 증가, 소비부진 등이 겹치면서 많은 농업인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이번 설 명절에는 소중한 분들께 우리 농민들이 정성껏 생산한 농산물로 따뜻한 정을 나눌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고 전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