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오경태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장 신년사

"미래농정 예측과 농식품 R&D사업 추진분야 확대 등 혁신성장 기반을 조성하겠습니

[신/년/사...오경태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장]

존경하는 전국의 농업인과 국민 여러분!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의 개원 10주년을 맞이한 기해년(己亥年)을 보내고 기대와 설렘이 가득한 경자년(庚子年) 새해가 밝았습니다.

 

힘이 세고 지혜로운 흰쥐의 해인 경자년(庚子年)은 풍요와 희망 그리고 기회를 상징하는 해인만큼 여러분께서 희망하는 모든 일을 성취하시고 행복이 가득한 한해가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지난 한해 우리 농기평에 많은 애정과 관심을 가져주시고, 농식품 R&D 및 산업 발전을 위하여 노력하여주신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우리 농기평은 농식품 R&D의 기획․관리․평가를 수행하는 연구관리 전문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2019년은 농기평 개원 10주년을 맞이하여 지난 10년을 돌아보고 농식품 R&D의 미래를 준비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광주․전남 빛가람혁신도시에 성공적으로 이전하여 새롭게 출발하는 매우 뜻깊은 해였습니다.

 

이러한 변화에 농기평은 국가 R&D 정책 및 환경 변화에 대응한 사업기획을 추진하여 지속가능한 농식품 산업기반을 조성하고, 농식품 R&D분야의 Think-Tank 역할을 강화하였습니다. 또한 정책 현장연계 강화를 위한 현장 중심 R&D 추진체계를 확립하였으며, 기관 경영혁신을 통하여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고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공공기관으로 거듭났습니다.

 

최근 농업은 기후변화, 미세먼지 및 국가 재난 발생 등 외부 환경이 급변하고 있으며, BT·IT 등 첨단기술 접목을 통한 혁신으로 새로운 변화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2020년 농기평은 미래 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농업의 지속가능성장을 위한 농업 혁신을 주도하는데 역점을 두겠습니다.

 

이를 위하여 첫째, 농정 현안 해결 및 사회적 재난의 선제 대응을 위한 미래농정 예측과 농식품 R&D사업 추진분야 확대 등 혁신성장 기반을 조성하겠습니다.

 

둘째, 농식품 혁신기술 상용화 기반을 조성하고 국민이 체감하는 성과 창출로 사회적 가치 실현에 앞장서겠습니다.

 

셋째, 현장중심의 기술수요 발굴 및 R&D지원 강화로 기술,현장,정책을 연계한 농산업 혁신생태계를 조성하겠습니다.

넷째, 안전 최우선 경영 및 국민참여와 윤리경영 등 사회적가치 중심의 경영환경으로 발전시켜 나가겠습니다.

 

이러한 노력이 결실을 맺어 농식품 R&D 및 농산업의 발전  뿐만 아니라 행복한 농업․농촌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또한 우리 농기평 임직원 모두가 고객과 먼저 소통하여 최고의 고객서비스를 실현하겠습니다. 우리 농기평이 더욱 힘차게 나아갈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격려 부탁드립니다.

 

다시 한 번 2020년 경자년(庚子年) 새해를 맞이하여 여러분이 소망하는 모든 일을 성취하시길 바라며 가정에도 건강과 행복이 늘 함께하시기를 기원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감사합니다.<오경태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장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