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농협 '카카오프렌즈 쌀' 출시

20일, 젊은 층 라이프스타일 겨냥해 쌀과 캐릭터를 결합한 맞춤형 상품 선보여
전국 140여개 홈플러스 매장에서 판매...“향후 유통채널 확대할 것”

농협은 20일부터 카카오프렌즈 캐릭터를 결합한 쌀 상품 6종을 출시하고 전국 140여개 홈플러스 매장에서 판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출시한 상품은 ▲카카오프렌즈×청원생명쌀, ▲카카오프렌즈×왕의밥상, ▲카카오프렌즈×안심무세미쌀, ▲카카오프렌즈×청원생명 쌀눈듬뿍쌀, ▲카카오프렌즈×유기농쌀 등 6종이다.

 

농협은 1인 가구 생활패턴 및 젊은 층의 수요에 따라 중량을 줄인 맞춤형 쌀과 카카오프렌즈 캐릭터를 결합하여 2kg 소포장 PET병 형태로 선보였다. 특히, ▲친환경, ▲완전미, ▲유기농 등 고품질 쌀의 특징과 기능성 쌀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어 다양한 소비자들의 수요를 충족시킬 것으로 보인다.

 

농협은 향후 4kg 포장 쌀 등 다양한 상품을 개발하고, '카카오프렌즈 청원생명쌀' 출시행사와 마케팅행사 등을 통해 '카카오프렌즈 쌀' 알리기에 적극 나설 예정이다.

 

농협 김원석 농업경제대표이사는 “이번 상품 출시로 선물용·기념품 등 신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향후 다양한 유통채널로 판매를 확대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나아름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한우자조금 “소 한 마리가 지구를 살린다”
기후위기와 식량 불균형이 전 세계적 과제로 떠오른 지금, 한우산업은 생산의 영역을 넘어 지구 생태의 균형을 지키는 ‘지속가능한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는 한우 명예홍보대사 이명규 상지대학교 스마트팜생명과학과 교수와 함께, 한우를 농업·환경·사회와 연결하는 ‘순환의 축’으로 조명하며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 한우 인식의 전환,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 만들어 한우는 오랜 세월 우리 민족의 삶과 함께해왔다. 농경사회에서는 노동을 돕고, 생의 마지막에는 고기와 가죽, 비료로 인간에게 돌아왔다. 이 순환의 역사 속에서 한우는 사람과 사회, 환경을 잇는 생명 순환 체계의 일부였다.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시작은 ‘관점의 변화’에 있다. 한우를 생산 효율이나 가격 중심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인간과 자연, 사회가 맞물린 순환 구조의 핵심으로 인식해야한다. 관점이 바뀌면 행동이 달라지고, 행동이 달라지면 산업의 가치와 방향이 달라진다. 결국 한우를 어떻게 이해하느냐가 한우산업의 지속가능성을 결정짓는 출발점이다. ◆ 자원의 순환, 한우분뇨는 토양을 살리는 생태 자원 관점의 변화는 실천으로 이어진다. 그 첫걸음은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한우자조금 “소 한 마리가 지구를 살린다”
기후위기와 식량 불균형이 전 세계적 과제로 떠오른 지금, 한우산업은 생산의 영역을 넘어 지구 생태의 균형을 지키는 ‘지속가능한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는 한우 명예홍보대사 이명규 상지대학교 스마트팜생명과학과 교수와 함께, 한우를 농업·환경·사회와 연결하는 ‘순환의 축’으로 조명하며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 한우 인식의 전환,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 만들어 한우는 오랜 세월 우리 민족의 삶과 함께해왔다. 농경사회에서는 노동을 돕고, 생의 마지막에는 고기와 가죽, 비료로 인간에게 돌아왔다. 이 순환의 역사 속에서 한우는 사람과 사회, 환경을 잇는 생명 순환 체계의 일부였다.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시작은 ‘관점의 변화’에 있다. 한우를 생산 효율이나 가격 중심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인간과 자연, 사회가 맞물린 순환 구조의 핵심으로 인식해야한다. 관점이 바뀌면 행동이 달라지고, 행동이 달라지면 산업의 가치와 방향이 달라진다. 결국 한우를 어떻게 이해하느냐가 한우산업의 지속가능성을 결정짓는 출발점이다. ◆ 자원의 순환, 한우분뇨는 토양을 살리는 생태 자원 관점의 변화는 실천으로 이어진다. 그 첫걸음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