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크고 희귀한 ‘박과 채소’ 다 모여라

농촌진흥청, 제17회 박과채소 챔피언 선발대회… 10월 1일~4일 신청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크고 무거운 박과채소를 선발하는 ‘제17회 박과채소 챔피언 선발대회’ 참가 신청 서류를 10월 1일부터 4일까지 받는다.  

 

품종 고유의 특성을 가진 큰 박과채소와 희귀한 모양과 특성을 갖는 박과채소를 선발한다. 호박, 박, 수박, 수세미, 동아 등 박과채소는 모두 출품할 수 있다.  

출품작은 서류 제출 후 10월 7일과 8일 이틀 간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종자산업진흥센터(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씨앗길 232)’로 출품하면 된다. 수상작은 외형과 특성에 따라 심사위원단의 공정한 심사를 거쳐 10점을 선발한다. 총 상금은 800만 원이며, 대상은 농촌진흥청장상과 상금 300만 원을 받게 된다.  

 

입상작과 출품작은 10월 16일부터 18일까지 열리는 ‘박과채소 전시회’에 소개된다. 올해 전시회는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종자산업진흥센터에서 열리는 ‘2019 국제종자박람회’와 함께 진행한다.  

선발대회와 전시회는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과 한국박과채소연구회가 공동 주최하며,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종자산업진흥센터와 김제시가 후원한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허윤찬 채소과장은 “각양각색의 다양한 박과채소를 한 자리에서 볼 수 있는 기회이며, 박과채소의 우수성에 많은 도시민들이 관심을 갖게 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강성수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업정책보험금융원, 정책자금 취급·사후관리 강화 현장교육 가져
농업정책보험금융원(원장 서해동)은 11월 21일(금) 경북 지역 농협 정책자금 취급 담당자를 대상으로 NH농협은행과 함께 ‘제1차 농업정책자금 대출취급·사후관리 교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정책자금 집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취급·관리상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고, 대출기관 담당자의 업무 역량 강화를 위해 마련되었다. 농금원은 최근 정책자금 관리·감독 체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정책자금 관리 대외협력 TF’를 구성하여 농협·수협 등 정책자금 취급기관과의 협업을 확대하고 있다. TF는 정책자금 대출 취급·사후관리 절차 강화를 위한 교육·캠페인 추진, 지원·관리 데이터 구축 등을 통해 정책자금의 건전한 운영 기반을 마련하는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농금원은 이번 교육을 시작으로 권역별 정책자금 현장교육을 지속 확대하고, 집합교육뿐 아니라 농업교육포털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도 단계적으로 활성화할 계획이다. 또한 TF 운영을 통해 축적되는 정책자금 지원·관리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제도 개선 및 정책 방향 설정에도 활용할 계획이다. 서해동 원장은 “정책자금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농업인이 체감하는 정책 효과도 커진다”며, “앞으로도 현장 중심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업정책보험금융원, 정책자금 취급·사후관리 강화 현장교육 가져
농업정책보험금융원(원장 서해동)은 11월 21일(금) 경북 지역 농협 정책자금 취급 담당자를 대상으로 NH농협은행과 함께 ‘제1차 농업정책자금 대출취급·사후관리 교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정책자금 집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취급·관리상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고, 대출기관 담당자의 업무 역량 강화를 위해 마련되었다. 농금원은 최근 정책자금 관리·감독 체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정책자금 관리 대외협력 TF’를 구성하여 농협·수협 등 정책자금 취급기관과의 협업을 확대하고 있다. TF는 정책자금 대출 취급·사후관리 절차 강화를 위한 교육·캠페인 추진, 지원·관리 데이터 구축 등을 통해 정책자금의 건전한 운영 기반을 마련하는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농금원은 이번 교육을 시작으로 권역별 정책자금 현장교육을 지속 확대하고, 집합교육뿐 아니라 농업교육포털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도 단계적으로 활성화할 계획이다. 또한 TF 운영을 통해 축적되는 정책자금 지원·관리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제도 개선 및 정책 방향 설정에도 활용할 계획이다. 서해동 원장은 “정책자금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농업인이 체감하는 정책 효과도 커진다”며, “앞으로도 현장 중심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