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농지연금' 노후대책 손색없어

농지연금은 평생을 농업에 헌신하신 농촌 어르신들이 경제적 안정을 누리며 자긍심 갖고 노후 보낼 수 있도록

한국농어촌공사(사장 김인식)는 11일 광주송정역에서 우리 쌀로 만든 떡과 리플렛을 천 여명의 귀성, 귀경객에게 나눠주며 농지연금을 홍보했다.

 

2011년 처음 출시된 농지연금은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을 지급받는 상품으로, 만 65세 이상, 영농경력 5년 이상으로 보유 농지가 전·답·과수원으로 실제 영농에 이용되고 있으면 가입할 수 있다.

 

올해 상반기 누적 가입은 13,176건으로 월 평균 지급액은 약 90만원이다. 가입건수는 연평균 14%씩 증가하며 농업인의 호응이 늘어나고는 있지만 고령농업인의 노후준비 여건에 비하면 가입률이 높지는 않다.

 

실제, 통계청에서 발표한 2017년 기준 산업별 사회보험 가입률은 전체 70%를 상회하는 반면 농림어업은 20%에도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렇게 국민연금과 같은 노후준비가 거의 되어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고령농업인이 농지연금에 선뜻 가입하지 못하는 이유는 계속 경작과 농지상속에 대한 부담 때문으로 꼽혔다.

농지연금 가입 후에도 농지는 직접 경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입을 망설이게 되는 이유는 농지대물림에 대한 부담이 더 크게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자녀들이 가입을 적극 권유하는 경우 가입결정이 훨씬 더 쉬워진다는 점에 착안해 공사 직원들은 가족이 모두 모이는 명절을 활용해 농지연금을 집중 홍보하고 있다.

 

김인식 사장은 “농지연금은 농업에 평생을 헌신하신 농촌 어르신들이 경제적 안정을 누리며 자긍심을 갖고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돕는 제도”라고 말하고 “자녀들의 농지연금 가입 권유는 부모님께 경제적 안정을 선물하는 것”이라며 가입을 권유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어촌희망재단, 2026년 농촌형 보육서비스 설명회 성황리 개최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이사장 박상희)은 최근 대전역 우암홀에서 2026년 농촌형 보육서비스 지원사업 설명회를 지자체 담당자 및 관련기관 담당자 등 약 14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이번 설명회는 2026년에 진행되는 농촌형 보육서비스 지원사업의 추진방향과 세부 운영계획을 안내하여 현장 담당자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마련되었다. 설명회에서는 사업 개요, 주요 변경사항과 공모·선정절차, 일정 등을 안내하였으며, 참석자들은 이를 통해 사업 추진의 구체적인 방향을 이해하는 시간을 가졌다. 2026년에는 새벽돌봄(오전 7~9시) 등 현재 돌봄이 미치지 못했던 시간대의 틈새보육을 시범 운영하는 등의 개선사항이 포함되어 있다. 이 자리에서는 주말 돌봄 지원대상의 연령 상향 등 현안사항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며, 정책개선에 대한 현장의 높은 관심과 의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농어촌희망재단 우만수 사무총장은 “농촌형보육서비스 지원사업은 농촌의 돌봄 여건을 개선하고 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중요한 정책”이라며, “이번 설명회를 통해 각 지역의 창의적이고 지속가능한 돌봄 모델이 현장에 안착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농촌형보육서비스 지원사업은 농촌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