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농어촌공사 김인식 사장, 충남지역 수자원확보와 공급 현황점검을 위한 현장방문

농어촌공사, 기후변화에 따른 지역별 강수편차에 대비한 중단기 대책마련하고 안전 영농환경 조성
저수량 부족한 지역 중심으로 추가용수 공급하고, 항구적인 대책 마련도 함께 할 것

한국농어촌공사(사장 김인식)는 지난주에 내린 장맛비로 공사가 관리하는 3,406개 저수지의 저수율이 30일 기준 74%로 평년 수준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그러나 태풍과 장마가 동시에 지나면서 국지적 집중호우를 보이는 등 중북부지방을 중심으로 강수부족 현상이 발생됨에 따라 영농기 동안 안정적인 수자원확보와 공급을 위해 지속적인 관리를 계속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김인식 사장은 30일 충남 지역 현장을 방문하고 수자원 확보와 공급 현황을 점검하며 현장직원들과 소통의 시간을 갖고 용수부족지역을 파악해 탄력적으로 대응해 줄 것을 주문했다.

 

이날 보령시 현장에는 김태흠 국회의원(자유한국당, 충남 보령·서천)이 방문해 사업추진현황을 듣고, 항구적인 가뭄대책 마련에 함께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충남지역 공사관리 230개 저수지의 평균 저수율은 58.9%로 이는 평년대비 86%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장맛비가 오기전보다 약 17% 상승한 수치로 농업용수 공급에는 차질이 없는 상황이다.

 

그러나, 최근 지역별 강수편차가 심해지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 항구적 수자원확보 대책을 마련 중이다. 지난 5일에는 서천 판교지구 다목적농촌용수개발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지구로 선정되어 금강 여유수원을 가뭄상습지구에 공급하는데 청신호가 켜졌다.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쳐 사업이 최종 확정되면, 용수로 120km와 양수장 5개소를 통해 금강에 있는 여유수원을 보령시와 서천군 등 가뭄상습지구 2,148ha에 공급함으로써 가뭄해갈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또한, 서천 장항지구의 경우 집중호우시 배수능력 부족으로 상습침수 피해가 발생하고 있어, 내년에는 신규 배수개선사업지구로 선정될 수 있도록 노력한다는 계획이다.

수자원확보를 위한 사업추진 협조요청에 김태흠 국회의원은 “가뭄으로 인한 피해와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피해가 없도록 지역 농업인들이 근심 없이 농사지을 수 있는 환경 조성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인식 사장은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적 집중호우와 지역별 가뭄이 앞으로 더 빈번하게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단기대책과 장기대책을 동시에 마련하고 비상한 각오로 꼼꼼하게 대비함으로써 안전한 농어촌을 만들고 국민의 식탁안전에도 기여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