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국가식품클러스터 '분양률 45%' 탈출에 진땀

서울을 시작으로 4개 주요도시에서 6차례 순회 투자유치 설명회
현재 식품기업 총 75개 업체...분양률 45%로 지지부진 상태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개호)는 전국 식품기업 등을 대상으로 지역순회 투자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국가식품클러스터 지역순회 투자설명회’는 5월 22일 고양시 킨텍스를 시작으로 9월까지 전국 4개 주요 권역별 주요도시(서울 2, 경기 2, 대구 1, 광주 1)에서 6차례 개최한다.

 

‘19년 국가식품클러스터 지역순회 투자설명회는 식품기업 투자유치를 통한 분양률 제고와 국가식품클러스터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서 마련했다.

1차 투자설명회(5.22, 고양시 킨텍스)는 중부권(대전·충청·강원) 식품기업 대상 국가식품클러스터 추진현황과 입주기업 지원사업 등을 설명한다.

 

또한, 숙명여대 노은정 교수의 ‘유통업계 HOT 이슈와 식품업계 시사점’ 특강과 국가식품클러스터 관계자와의 질의·답변 등 소통의 시간을 갖을 예정이다.

국가식품클러스터는 기업지원시설이 본격 가동되고, 금년 3월11부터 토지분양 5년 무이자 분할납부 전환 등 투자유치 활성화 기반이 마련되어 분양기업이 75개 업체로 증가하는 등 식품기업들의 관심 및 잠재투자자가 대폭 늘어나고 있다.

 

5월 현재 식품기업 30개 기업이 착공, 그 중 27개 기업은 준공하여 생산가동을 시작하고, 일부업체는 활발한 제품생산 및 마케팅 활동도 전개하고 있다.

특히, 풀무원이 수출용 프리미엄 김치공장 준공을 마치고  본격 제품생산 활동을 시작할 예정이며, 하림·매일식품 등 선도기업이 금년 중 공장 착공을 함으로써 상징적 의미와 기업들의 상생협력·시너지 등 붐 조성에 견인차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한, 국가식품클러스터 임대형 식품벤처센터에서 식품창업 열정과 아이디어로 무장한 37개 업체가 입주하여 왕성한 제품 제작 등 기업 활동을 영위하고 있다.

이와는 별도로 청년식품창업Lab사업은 식품창업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해 ’17년부터 현재까지 25개팀이 수료하여 그 중 14개팀이 창업과 사업화에 성공했다. ’19년에는 24개팀을 지원·운영 할 예정으로 현재 1기(5개팀)가 운영 중에 있다.

 

농식품부 황규광 과장은 “이번 투자설명회를 통해 국가식품클러스터의  플랫폼 비즈니스 지원 기능과 식품의 부가가치 및 일자리 창출 산실(産室)로서의 역할을 알리고, 혁신을 위한 아이디어의 교환 및 발전방향을 공유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이 될 것이라며, ‘국가식품클러스터를 첨단 식품산업 혁신성장의 메카로’ 자리매김하도록 식품 R&D 지원, 수출 및 마케팅 활동 지원, 상호작용 네트워크 구축 등 다각적·체계적인 지원 서비스를 확대하여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강조하여 말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한우자조금, ‘한우농가 디지털정보 활용과 생산성 향상’ 국제 심포지엄 성료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한우협회장)는 한우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인공지능(AI) 시대 대응 전략 마련을 위해 지난 5일(수)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한우농가 디지털정보 활용 및 생산성 향상’ 국제 심포지엄을 성황리에 개최했다. 최근 AI 시대 도래로 모든 산업이 대응 전략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으나, 한우산업은 상대적으로 뒤처진 상황이다. 이에 한우자조금은 산재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공익 목적의 맞춤형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한우디지털정보센터(HDIC) 구축과 AI 기반 정보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이번 심포지엄을 마련했다. ‘송아지 육성률 향상 및 생산성 기반, 지속 가능한 축산의 시작’을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에는 한우농가, 학계, 유관기관 관계자가 참석했으며, 현장 사례와 질의응답 중심으로 진행됐다. △한우디지털정보시스템 소개 및 서비스 방안(하재정, 한우자조금 책임연구위원)을 시작으로 △번식농가의 필수 기본기 4원칙(고봉석, 거기한우 대표) △송아지 맞춤형 인공포유 및 질병의 예방과 치료(강기웅, 우사랑동물병원장) △일본 화우 송아지의 최신 사양관리 기술 및 현장사례(노상건, 일본 도호쿠대학교 교수) 등 다양한 주제 발표가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