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박정관 부장은 8월 29일 충북 제천의 약용작물 신품종 재배 현장을 찾아 제천시농업기술센터 관계자들과 종자 생산과 보급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제천은 전통적으로 약용작물 재배에 알맞은 기후와 토양조건을 갖춰 약용작물 생산의 최적지로 평가 받아왔다. 이에 농촌진흥청은 제천시를 국내 육성 약용작물 신품종 보급, 산업화 거점으로 육성하는 데 힘을 보태고 있다. 현재 제천에서는 ▲황기 ‘아성’ 재배·종자 채취 시범사업 ▲감초 ‘원감’·‘다감’ 전문생산단지 조성 ▲황해쑥 ‘평안애’ 건강기능식품 생산 원료 계약재배 단지 조성 등 농촌진흥청이 개발한 신품종 관련,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이번 방문에서 약용작물 품종 증식, 종자 채취와 관련해 농가의 어려움을 듣고, 안정적인 보급 체계 구축과 산업화 진입을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박정관 부장은 “국내 육성 약용작물이 안정적으로 농가에 보급되고, 기능성 산업 소재로 활용될 수 있도록 지역과 연구개발, 보급 체계를 강화하겠다.”라고 밝혔다. 나남길 kenews.co.kr
충북 음성군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재배지에서 연구원들이 저온성 필름을 덮어 재배한 '천궁'을 수확하고 있다. '천궁'은 혈액순환에 좋은 약용작물로, 저온성 필름을 덮어 재배하면 고온기 말라 죽는 피해를 줄여 생산량을 높일 수 있다.<사진=농촌진흥청 kenews.co.kr>
12일 충북 음성군 소이면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인삼 신품종 육성 시험 재배지에서 연구원들이 개발 중인 인삼 우량 계통과 품종을 수확하고 있다.<사진=농촌진흥청 kenews.co.kr>
16일 충북 음성군 소이면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시험 재배지에서 연구원들이 병에 강하고 수량 많은 작약 품종 개발을 위한 인공교배를 하고 있다. 주요 약용작물 중 하나인 작약은 2020년 기준 재배면적은 167ha, 생산량은 1,849톤에 달한다. <사진= 농촌진흥청 k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