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임 식품산업정책관 윤 동진입니다. 지난 2월 17일에 부임해 식품업계, 연구기관, 농민단체, 수출 관계자분 등 여러분을 뵙고 있습니다만, 세종에서 일하다 보니 만남이 많이 부족합니다. 양해해 주신다면, 소중한 분들과 우선 지면을 빌어 인사드리고 아낌없는 조언과 협조를 당부 드리려 합니다.
공직자의 역할은 현장에서 도전하고 고민하는 분들을 찾아 그 꿈을 이룰 수 있도록 돕는 것이라 믿고 있습니다. 의미가 큰 사안일수록 내부 공감대 형성, 타 부서, 관계 부처 토론과 설득, 국회 협조 등 치열한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저와 식품·외식기업, 학계, 현장 전문가간 소통과 신뢰가 중요한 이유입니다.
무엇보다 작년에 발표한 농업·농촌 및 식품 산업 발전계획(박근혜 정부 5년 농정 로드맵)에서 제시한 식품분야 내용을 중심으로 올해 편성된 예산사업에서 최대한 성과가 나도록 집행하겠습니다. 아울러, 일하면서 다음 세 가지 사항에 집중하겠습니다.
첫째, 식품분야의 불합리한 규제와 관행을 없애는데 앞장 서겠습니다. 이것이 창조 경제와 경제혁신의 핵심입니다. 과장 초임시절 총리실 규제기획단에서 일했었기에 얼마나 힘든지 잘 알고 있습니다. 그만큼 보람이 큰 일이기도 합니다. 대표적인 덩어리 규제일 수 있기 때문에 민관 협력과 부처 협업의 자세로 제가 직접 챙기겠습니다. 해결의 절반은 문제를 제대로 찾는 일이므로 현장과 업계에서 적극적으로 역할을 해 주셔야 합니다.
둘째, 로컬 푸드 정신으로 식품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토록 하겠습니다. 농업이 발전해야 진정한 선진국이 되는 것처럼 지방의 경쟁력이 국가 경쟁력의 척도입니다. 과거 한식 세계화와 달리 국내 기반과 내실을 우선하고 지역 음식 관광, 방한하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타겟 마켓팅도 강화하겠습니다. 마을 개발사업, 6차 산업화, 직거래 확대 등 농림축산식품부 타 사업과 연계하여 지자체가 지역 식품정책에 관심을 갖고 사업도 구상하고 발전시켜 나갈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셋째, 생산과 유통, 소비가 분절되지 않은 공급망 구축입니다. 소비자들이 좋은 식재료를 가지고 만든 식품과 외식 상품을 구별할 수 있도록 각종 제도를 정비할 작정입니다. 스마트 폰과 ICT, 신소재 저장·포장 기술, 신메뉴 개발 등 식품 유통 분야가 농업의 발전을 리드할 수 있도록 식품·외식산업과 농업의 연계를 강화하겠습니다. 확장된 Supply Chain이 무역인 만큼 FTA를 기회로 국내 기반을 다지고 유통 혁신을 접목 하겠습니다.
저는 지난해 정부조직개편 과정에서 농업이 식품에 던졌던 간절한 의미와 쉽지 않은 정부내 여건을 기억하고 있습니다. 말이 아니라 실천이 필요하고 실천을 성과로 연결해야 스스로 당당할 수 있다고 다짐합니다. 기대에 어긋나지 않도록 더욱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편집부 k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