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동오그룹, 창사 70주년 맞아 새 엠블럼 발표

- 이용진 경농 대표이사 “미래 농업을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더욱 발전해 나가겠다”
- 70주년 맞은 동오그룹...역사를 품고 미래를 열다
- “전통을 품고, 혁신으로 농업의 새로운 길을 열다!”

대한민국 농업 발전의 중심에서 혁신과 성장을 거듭해온 동오그룹이 창사 70주년을 맞아 기념 엠블럼과 슬로건을 발표했다.

이번 엠블럼과 슬로건은 동오그룹의 오랜 역사와 현재의 혁신, 그리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향한 비전을 담아 디자인됐다.

 

◈ 엠블럼, 견고한 기업의 토대와 지속적 혁신을 상징

 

동오그룹의 창사 70주년 엠블럼은 숫자 ‘70’과 함께 농업을 상징하는 요소들을 조화롭게 표현해 그룹의 정체성과 비전을 강조했다.

 

먼저 숫자 ‘7’은 견고하고 강인한 기업의 토대와 더불어 동오그룹이 지난 70년간 만들어온 역사를 상징한다. ‘0’은 순환과 지속 가능성을 뜻하는 원형 구조로 표현돼 농업 생태계의 순환과 지속적인 혁신의 의미를 지닌다.

 

특히 숫자 0은 ‘동쪽 언덕에서 떠오르는 태양, 글로벌 시대를 선도하는 동녘의 한국’이라는 의미의 이장표 선대회장의 호를 붓터치 기법으로 담아내 하늘을 기반으로 자연을 담아내는 동오의 철학을 표현했다.

 

엠블럼 하단의 곡선은 땅을 기반으로 선진농산업을 담아내는 동오의 기술력을 표현했다.

 

◈ 한국농업의 역사를 품고 미래로 나아가는 동오그룹

 

 70년 엠블럼 상단을 두르고 있는 것은 동오그룹의 70주년 슬로건 ‘역사를 품다, 농업을 잇다, 미래를 열다’다. 사내 공모전을 통해 임직원들이 직접 선정한 문구로, 동오그룹이 걸어온 길과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나타낸다.

‘역사를 품다’는 70년 동안 한국 농업 발전에 기여한 동오그룹의 역사와 전통을 기리며, 기업의 뿌리를 잊지 않고 계승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1955년 설립과 함께 동오그룹의 모태가 된 조비의 빨강색으로 표현했다.

 

‘농업을 잇다’는 혁신적인 기술과 연구를 통해 농업을 발전시키고, 더욱 편리하고 효율적인 농업 환경을 구축하는 동오그룹의 역할을 상징한다. 작물보호제와 스마트팜 등 농업의 핵심 자재를 공급하는 경농의 파랑색으로 표현했다. ‘미래를 열다’는 지속 가능한 미래 농업을 위한 도전을 멈추지 않고, 새로운 가능성을 창출해 나간다는 동오그룹의 비전을 표현함과 동시에 그룹의 CI를 상징하는 녹색으로 그려졌다.

 

동오그룹은 창사 70주년 맞아 풍성한 고객 감사 이벤트도 진행 중이다. 동오그룹 제품(경농·시그닛·동오시드·조비·글로벌아그로·탑프레쉬)을 구매하면 추첨을 통해 777명에게 대형 TV 등 다양한 경품을 증정한다.

 

이용진 경농 대표이사는 “70주년을 맞이해 우리가 걸어온 길을 되돌아보며,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명확히 다지는 계기가 됐다”며 “미래 농업을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더욱 발전해 가겠다”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국민 호흡기 건강, 잎들깨 식물특허 ‘숨들’로 지킨다
국내 잎들깨는 로즈마린산을 비롯한 항산화 성분과 정유 성분을 다량 함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선시대 의학서 ‘동의보감’에 ‘들깻잎’이 기를 상하로 소통시키고, 기침, 천식 등을 치료한다’라는 기록도 있다. 최근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과 기후변화가 심각해지면서 소아 알레르기 질환 등 호흡기 질환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는 보도가 잇따르고 있다. 이에 따라 호흡기 건강관리에 대한 국민적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농촌진흥청은 미세먼지로 인한 기관지 염증을 완화하고 호흡기 건강개선에 효과가 있는 국산 잎들깨 ‘숨들’을 육성하고, 그 효능을 과학으로 입증했다. ‘숨들’은 ‘숨쉬기 편하게 하는 들깨’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국내 약 200종의 잎들깨 자원에서 호흡기 건강개선 효과가 뛰어난 자원 56종을 1차 선발하고, 대량검정으로 미세먼지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염증 및 점액 과분비를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자원으로 최종 선발한 잎들깨를 식물특허로 육성했다. ‘숨들’ 잎 추출물을 미세먼지(PM2.5)로 자극한 인체 유래 비강 세포에 처리(in vitro, 세포실험)했을 때, 기관지 염증이 대조 품종(‘남천’) 대비 2.8배 감소했으며, 과도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