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한우자조금, “한우와 김치의 깊은 조화”

- 김치와 한우로 완성하는 특별한 겨울 밥상
- 김치와 한우로 만드는 별미, 매운 김치 갈비찜과 바싹 카레 김치 볶음 소개

김치는 한국인들의 밥상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음식 중 하나로, 단순히 반찬을 넘어 건강식으로도 각광받고 있다.

 

식이섬유와 비타민이 풍부한 김치와 양질의 단백질이 풍부한 한우가 하나로 합쳐졌을 때는 어떤 보양식으로도 손색이 없다.

 

이에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이동활)는 한우 명예홍보대사 김호윤 셰프와 함께 특별한 겨울 밥상을 책임져줄 한우 김치요리를 소개한다.

 

◆ 깊고 진한 풍미로 완성된 겨울철 별미, ‘매운 김치 한우 갈비찜’

 

‘매운 김치 한우 갈비찜’은 묵은지와 한우 갈비가 조화를 이루어 깊고 진한 맛을 선사하는 요리다. 특히, 숙성된 묵은지는 매운맛과 시원한 감칠맛을 더해 갈비찜 국물의 풍미를 한층 깔끔하게 만들어준다. 묵은지의 숙성 단계에 따라 각기 다른 매력을 즐길 수 있어,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특별한 요리가 된다. 

 

 

조리법도 간단하다.

 

한우 갈비는 핏물을 뺀 후 끓는 물에 데쳐 잡내를 제거한다. 냄비에 묵은지를 깔고 갈비를 올린 뒤, 다진 마늘, 간장, 고추장, 고춧가루, 참치 액젓, 올리고당으로 간을 맞추고 물을 부어 천천히 끓여준다. 마지막에 대파와 고추를 더해 향을 돋우면 완성된다.

 

남은 국물로 밥을 볶아 먹으면 또 다른 별미를 경험할 수 있어 추운 겨울에 가족들이 함께 즐기기 좋은 요리다. 

 

◆ 한우 카레와 볶음 김치의 이색적인 한 그릇, ‘바싹 한우 카레 김치 볶음’

 

‘바싹 한우 카레 김치 볶음’은 한우 다짐육과 볶음 김치, 카레가 조화를 이루는 이색적인 요리다. 카레의 강황 향과 묵은지의 깊은 감칠맛이 어우러져 입맛을 사로잡는 색다른 풍미를 제공한다. 이 요리는 가벼운 점심 메뉴로도 좋고, 손님을 위한 특별한 요리로도 손색이 없다.

 

만드는 방법도 어렵지 않다. 팬에 한우 다짐육을 볶은 뒤, 다진 양파와 다진 마늘, 굴 소스, 고춧가루, 카레 가루, 설탕, 후추를 더해 맛을 낸다. 마지막으로 케첩을 넣어 농도를 맞추면 완성된다.

 

볶아낸 김치를 따뜻한 밥 위에 얹고, 그 위에 완성된 한우 카레를 곁들이면 특별한 한 접시가 만들어진다. 기호에 따라 신선한 노른자나 아보카도를 추가하면 더욱 부드럽고 고소한 맛을 즐길 수 있다. 

 

 

김치는 발효 과정에서 유산균과 비타민이 풍부해 소화기 건강과 면역력 강화에 도움을 준다.

 

여기에 한우가 더해지면 고품질 단백질과 필수 아미노산 섭취를 통해 체력을 보강하고 겨울철 에너지 충전에 제격이다. 특히, 한우의 불포화 지방산은 심혈관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김치와 한우로 건강한 겨울을 보낼 수 있다.

 

이동활 한우자조금관리위원장은 “시간이 지날수록 깊은 풍미와 감칠맛이 더해지는 김치와 한우를 함께 조리하면 맛은 물론 영양과 건강까지 챙길 수 있어 가족 모두를 위한 특별한 겨울 요리로 완성된다”라며, “앞으로도 한우자조금은 한우의 우수성을 알리고 국민들의 식탁을 더욱 풍성하게 할 다양한 레시피를 꾸준히 선보이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