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농어촌상생기금 취지무색...대기업들 찔끔찔끔 출연

9대 재벌 농어촌상생기금 출연액, 대중소기업상생기금 출연액의 1/20 불과
윤준병 의원 “농어업인과의 상생협력 활성화 위해 재벌그룹부터 앞장서야”

 

FTA 체결로 피해를 입은 농어업 · 농어촌과 기업 간의 상생협력을 위해 조성 · 운영하고 있는 농어촌상생협력기금이 대기업 등의 외면으로 저조한 가운데, 지난 8년간 9대 재벌그룹의 농어촌상생협력기금 출연액이 같은기간 출연한 대 · 중소기업상생기금 출연액의 20분의 1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 고창군)이 중소벤처기업부 등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 지난 2017년부터 시작해 올해 8월까지 재계서열 1~9위 그룹인 삼성 ·SK· 현대자동차 ·LG· 포스코 · 롯데 · 한화 ·HD 현대 ·GS가
농어촌상생협력기금으로 출연한 금액은 총 455 억 3,900 만원으로 집계됐다.

반면 , 같은기간 동안 9대 그룹이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협력을 위해 조성하는 대 · 중소기업상생협력기금에 출연한 금액은 총 8,741억 1,000만원으로 집계됐다.

따라서 8년간 재계서열 1위부터 9 위까지의 재벌그룹이 농어촌상생협력기금에는 연간 평균 56.9억원을 출연한데 비해, 동 기간 대 · 중소기업상생협력기금에는 연간 평균 1,092.6 억원을 출연한 것으로 , 무려 19.2배 차이를 보였다.

그룹별 농어촌상생협력기금과 대 · 중소기업협력기금 간 격차를 보면, 포스코의 경우 지난 8 년간 농어촌상생협력기금으로 30억 4,800 만원을 출연한데 비해 대 · 중소기업상생협력기금으로는 1,216억원을 출연해 약 39.9 배 차이를 보여 가장 큰 격차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8년간 9대 재벌그룹 농어촌상생기금 출연액 455억 , 동기간 대중소기업상생기금 출연액 (8,741억 ) 대비 1/20 수준 그쳐
포스코 , 대중소기업상생기금 출연액 대비 농어촌상생기금 출연액 비중 1/40 수준으로 가장 저조 ...이어 현대차 ·SK 순
자유무역협정 (FTA) 체결로 경제적 이익을 본 대기업 및 민간기업들이 농어업인들과의 상생을 담보할 수 있도록 대수술해야


이어 현대자동차 38.3배(농어촌 69억 1,100 만원 · 대중소기업 2,647억 6천만원 ), SK 35.3배(농어촌 51 억 9,200 만원 · 대중소기업 1,832억 8천만원) 순으로 격차가 컸다. 반면, 롯데의 경우 8 년간 출연한 농어촌상생협력기금 대비 대 · 중소기업상생협력금 출연액은 2.9배로 , 9대 그룹 중 격차가 가장 적었고, 이어 GS 5.6배, 한화 6.8배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는 농어촌상생협력기금 및 대 · 중소기업상생협력기금 출연액 모두 저조한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앞서 연 1,000억원씩 10년간 1조원을 조성하겠다는 농어촌상생협력기금의 당초 목표와 달리, 올해 8월까지 실제 조성된 금액은 2,449억원 (24.5%) 에 불과했고, 그 원인으로 재벌(대기업)을 비롯한 민간기업의 출연 실적(38.6%) 이 저조한 점이 지목된 바 있다.

그런데 9 대 재벌그룹이 중소기업과의 상생협력을 위해 출연한 규모에 5% 도 채 되지 않는 금액만을 농어촌 상생협력을 위해 출연하고 있는 점이 드러나면서,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른 농어업인의 희생으로 성장한 재벌기업이 농어업인과 농어촌을 외면하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더욱 거세지고 있다.

윤준병 의원은 “앞서 대기업을 비롯한 민간기업들이 FTA 체결에 따른 농어업인들의 피해를 기반으로 성장했음에도 정작 농어업인들의 피해를 지원하기 위한 농어촌상생협력기금 출연에 미온적인 현 상황을 지적했다”며 “이에 더해 재계 1위 ~9위 재벌그룹이 출연한 농어촌상생협력기금 출연 규모가 같은 기간 출연한 중소기업 상생협력 출연 규모의 5%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고 지적했다.

이어 윤 의원은 “FTA 체결로 피해를 입은 우리 농어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농어촌상생기금의 당초 취지를 살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며 “금년도 국정감사에서 농어민의 희생으로 성장해 온 기업들이 농어촌과의 상생협력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도록 노력을 촉구하고, 농어촌상생협력기금 관련 제도도 개선할 것 ”이라고 강조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서울우유협동조합 문진섭 조합장, "'저지밀크푸딩' 출시...프리미엄 디저트 시장 공략할 것"
서울우유협동조합(조합장 문진섭)이 국산 저지우유(Jersey Milk)를 활용한 프리미엄 디저트 신제품 ‘서울우유 저지밀크푸딩’을 출시한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국내 디저트 시장 규모는 지난 2014년 8000억 원에서 지난해 1조 5000억 원으로 10년 만에 약 88%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에는 부드러운 식감과 달콤한 맛이 특징인 푸딩의 인기가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유통업계에서는 일본의 유명 푸딩을 독점 판매하거나 독자적으로 푸딩 제품을 개발하는 등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이에 서울우유는 고품질 원유 경쟁력을 앞세워 높은 유지방 함량으로 부드럽고 크리미한 풍미가 일품인 ‘저지우유’를 활용한 프리미엄 디저트 ‘서울우유 저지밀크푸딩’을 새롭게 선보인다. 신제품은 서울우유 저지 전용 목장에서 생산한 국산 저지우유를 무려 83% 함유해 우유 본연의 진하고 부드러운 풍미가 특징이다. 일반 우유에 비해 단백질, 칼슘 등 영양소 함유량이 높아 로열 밀크(Royal Milk) 혹은 골든 밀크(Goldn Milk)라고도 불리는 ‘저지우유’는 영국 왕실 전용 우유를 만들기 위해 청정지역으로 알려진 영국 해협의 저지섬에서 자란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지연금 ‘공공 마이데이터’ 도입...연금 가입 시 서류 제출로 간편
한국농어촌공사는 29일부터 고령 농업인이 소유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 방식으로 노후 생활 안정 자금을 받는 ‘농지연금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의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행정·공공기관이 보유한 본인 행정정보를 본인(또는 본인이 지정하는 제삼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다. 공사는 2024년 10월부터 농지은행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를 도입하고 대상 서류를 확대해 왔으며, 이번에 농지연금 사업에 추가 적용하여 농지은행 전 사업에서 공공 마이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앞으로 농지연금 가입 희망자는 계약에 필요한 서류 4종을 간편인증이나 휴대전화 인증을 통해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다. 농지연금사업이 60세 이상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고령 농업인의 서류 준비 과정을 대폭 축소해 고객 부담을 낮추고 편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간 1만 2천여 건의 종이 서류가 온라인으로 대체되어 종이 사용 절감과 탄소 배출 감소가 기대된다. 향후 공사는 농지은행 디지털 전환을 지속해 국민이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업무 생산성 높일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