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한우자조금, '한우고기 소비 모니터링' 결과...차별점 부각될수록 소비층 증가

- '2023년 한우고기 소비동향 모니터링' 결과 발표..."한우 소비 만족도 높아"
- 소비자별 특성에 따른 차별화 전략과 채널별 판촉행사 다변화 필요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이동활)가 ‘2023년 한우고기 소비동향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모니터링은 ㈜아테나컴퍼니에서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소비자 인식 조사 ▲소비 유통 Big Data 분석 ▲Trend Pick 분석 등 3개 영역으로 구분해 진행되었다.

먼저, 올해 2월부터 3월까지 전국 25~69세 성인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한 소비자 인식의 주요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23년 쇠고기 경험 활동 비중은 ’가족과의 외식(90.9%)‘ > ’친구 및 지인과의 외식‘(86.0%) > ’오프라인 육류 구매(83.6%)‘ 순으로 나타났다.

가구 소비자는 육류 구입 시 전년 대비 ‘안전성(+2.5%p)’과 ‘신뢰성(+2.3%p)’을 중요 시 하는 비중이 상승한 반면, ‘가격(-3.4%p)’과 ‘원산지(-1.5%p)를 고려하는 비중은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도가 가장 높은 소고기는 ’한우고기(74.5%)‘로 타 소고기들에 대한 선호도는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추세인 반면, 한우는 지속적인 상승추세를 보였다.

한우고기 구입 장소는 대형할인점 정육코너(41.4%)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다음으로 ’일반정육점(19.7%), 슈퍼마켓 정육코너 및 축산물 브랜드 직영판매점(각 12.3%) 순으로 나타났다. 인터넷/TV홈쇼핑을 통한 구입비중은 전체 구입처의 8.5%로 비중은 낮은 편이나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특히 1인, 2인 가구의 경우, 각각 13.2, 14.1%의 비중을 차지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외식 시 한우고기 1인당(1회) 지출 비용은 전년 대비 약 3,300원 증가한 56,000원 수준이었으며, 1인당 평균 한우고기 외식 섭취량은 전년 대비 48.0g 감소한 244.2g으로 나타났다. 소고기 외식 소비자 10명 중 7명 이상이 월 1회 이상 ‘구이류’를 취식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어 ‘스테이크’, ‘양념불고기류’를 취식한 비율이 높았다.

외식 시 선호하는 소고기는 ‘한우고기’를 선호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55.7%로 나타났으며, 육우고기, 미국산 소고기, 호주산 소고기 등은 10% 내외로 조사되었다.

외식 시 소비자가 즐겨 먹는 한우고기 부위는 등심(39.5%)으로 응답한 비율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갈비(23.6%) > 안심(12.6%) 순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외식을 통해 한우고기를 섭취할 때는 1+등급 이상 한우고기를 취식하는 비중(1++등급 : 23.5%, 1+등급 56.4%)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소고기별 ’맛‘, ’안전성‘, ’영양가‘ 만족도 지수는 매년 한우고기가 타 소고기 대비 매우 높은 만족도 지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업체 결제 데이터 분석 결과, 외식으로 한우고기를 취식하는 경우와는 달리 소비자들이 직접 구매하여 취식하는 한우고기는 1등급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가정 내에서 소비할 때와 달리 외식할 때 더욱 품질 좋은 고기를 선호하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유통업체의 소고기 판매액에서 ’한우고기‘가 차지하는 비중은 53.4%로 나타난 반면, 총 판매중량에서 한우고기가 차지하는 비중은 47.8%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한우고기 가격이 타 소고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격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소비자들이 소고기를 주로 구입하는 유통채널은 판매액 기준으로 ’마트‘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백화점‘> ’슈퍼‘ > ’온라인‘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판매 중량 기준으로는 ’마트‘ > ’슈퍼‘ > ’온라인‘ 순으로 나타났다.

한우고기에 대한 소비자들의 온라인 상 언급량 확인을 위해 Trend Pick 툴을 활용하여 2023년 연간 ’한우‘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 ’맛집‘, ’고기‘, ’메뉴‘ 등의 연관어가 도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단어 연관성 분석 결과에서도 ’좋다‘, ’맛있다‘, ’즐기다‘ 등 긍정적인 언급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니터링 조사를 종합한 결과, 소비자들의 한우에 대한 만족도는 대부분의 지표에서 다른 소고기에 비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의 경우, 다른 소고기에 비해 가장 낮은 수준이긴 하나, 큰 격차는 보이지 않아, 한우의 차별적인 장점이 부각될수록 한우에 대한 소비층은 증가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지난해 한우자조금에서 지속적으로 추진한 ’소프라이즈 한우세일‘ 행사는 한우고기 판매량 증대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보인 것으로 보이나, Trend Pick 분석 결과 ’소프라이즈‘에 대한 언급량이 낮은 점을 미루어 보아 소비자들에게 인지도를 제고시킬 방안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활 한우자조금 위원장은 “소비자별 특성을 고려하여 전국단위 한우 할인행사와 더불어 1~2인 가구를 위한 온라인 판매 및 협업마케팅을 강화할 것”이라며, “올 한해도 한우 가격 하락에 대응하여 ’소프라이즈 한우세일‘ 행사를 통해 소비촉진을 위해 더욱 힘쓸 것“이라고 했다.

’2023년 한우고기 소비동향 모니터링‘ 결과 보고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 홈페이지 ’통계·연구 > 소비동향‘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박시경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서울우유 “국내 최고의 젖소 찾는다!”
. 서울우유협동조합(조합장 문진섭)이 오는 17일부터 18일까지 양일간 경기도 안성 농협경제지주 안성팜랜드에서 ‘제11회 서울우유 홀스타인 경진대회’를 개최한다. 서울우유협동조합이 주최하고 서울우유 우유군검정연합회가 주관하는 ‘서울우유 홀스타인 경진대회’는 1997년부터 시작된 낙농가 최대 축제로, 올해 11회째를 맞았다. 국내산 홀스타인 품종 젖소 중 농림축산식품부 젖소 능력검정사업에 참여하고, 유량과 건강 상태가 뛰어난 젖소를 선발해 국내 낙농산업의 우수성을 알리고, 유제품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대회는 60개 농가에서 엄선한 120두의 젖소가 출품돼 국내 최고의 젖소 자리를 두고 치열한 경합을 펼칠 예정이며, 특히 올해 11월 캐나다 ‘로얄 윈터페어 홀스타인 쇼’ 심사를 맡은 조엘 르파쥬 심사원을 초빙하여 심사 전문성을 강화한다. 많은 관람객이 방문하는 낙농가 축제인 만큼 부대행사도 풍성하게 마련했다. 우유, 발효유, 치즈 등 유제품 시식 행사와 함께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도 준비했다. 뿐만 아니라 국내 낙농산업의 기술력을 만나볼 수 있는 로봇착유기, 사료, 첨가제, 낙농기계 등 약 50여개의 낙농기자재 업체 전시회도 열린다. 또한, 낙농가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