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고온 다습한 8월 ‘포도 곰팡이병’ 피해 주의

- 지난해 조사 결과… 갈색무늬병, 노균병 등 8월 들어 발생 늘어
- 비 피해 본 농가는 탄저병, 역병 주의...감염된 열매는 초기에 제거해 피해 최소화

긴 장마와 세찬 비로 피해를 본 과수 농가가 많다.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습한 환경에서 포도의 곰팡이병 감염이 증가하므로 병에 걸리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 갈색무늬병과 노균병, 예방적 방제 필수

 


갈색무늬병과 노균병은 장마기 이후 급격하게 발생한다. 포도가 갈색무늬병에 걸리면, 잎에 검은 점무늬가 생기며 병이 발전하면서 점무늬가 확대되고 잎이 떨어진다.

포도가 노균병에 걸리면, 잎이 물에 데친 것처럼 투명한 병 증상이 형성되다가 4~5일 뒤 잎의 앞면은 노랗게 변하고, 뒷면에는 흰색 곰팡이가 형성된다. 노균병은 주로 잎에 발생하지만, 꽃송이와 열매가 감염되면 열매꼭지가 떨어지는 피해를 볼 수 있다.

농촌진흥청이 2022년 주요 생산지에서 조사한 결과, 갈색무늬병은 ‘캠벨얼리’(충북 농가 기준)의 경우, 7월 0.1%, 8월 6.2%, 9월에는 9.6%까지 발생이 증가했다. 노균병은 ‘거봉’(경기도 농가 기준)의 경우, 8월 3.2%, 9월에는 4.7%까지 발생이 늘었다.

 


올해는 지난해보다 장마 기간이 길고 비 오는 날이 많았던 만큼 농가에서는 갈색무늬병과 노균병 적용 약제로 예방적 방제를 철저히 해야 한다.

# 비 피해 본 농가는 탄저병, 역병 주의

과수원이 물에 잠기거나 비 피해를 본 포도 농가는 탄저병과 역병 감염에도 주의해야 한다.

포도 탄저병은 열매에 검은 반점을 형성하는데 병이 발전할수록 열매 표면이 움푹 들어가고 내부가 갈색으로 변한다. 탄저병에 걸린 열매는 표면에 많은 양의 번식체(분생포자)를 형성하는데 이 번식체가 빗물에 의해 이동, 다른 열매를 감염시킬 수 있다.

포도가 역병에 걸리면 초기 열매에 갈색 무늬가 형성되고, 병이 발전하면서 열매 전체가 갈색으로 변하고 찢어지는 현상이 생긴다. 주로 토양에 잠복하던 병원균이 빗물에 튀어 포도송이에 닿으면서 감염돼 발생한다.

봉지를 씌우지 않는 농가에서는 장마 이후 탄저병과 역병 피해를 크게 볼 수 있으므로 각별하게 주의한다.

 


농가에서는 과수원이 지나치게 습하지 않도록 관리하고, 주기적으로 살펴 병 발생 초기에 감염 열매를 제거한다. 살균제는 재배 품종의 수확기를 고려해 ‘농약안전사용기준’에 따라 뿌린다.

포도 방제 약제 정보는 농촌진흥청 농약안전정보시스템의 농약 검색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김동환 과장은 “포도 재배 농가에서는 봉지를 씌우고 바람과 빛이 잘 통하게 하며, 물이 잘 빠지도록 하는 등 재배 품종에 맞는 적절한 환경 관리로 병 발생을 최소화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국내 최대 과일축제!...'2025 대한민국 과일산업대전' 11월 27일 개막
국내 과수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과수 전문 박람회, 제15회‘2025대한민국 과일산업대전’이 오는 11월 27일(목)부터 29일(토)까지 3일간 대전컨벤션센터(DCC)에서 개최된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주최하고 한국과수농협연합회가 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전국 주요 과수주산지농협과 과수농가, 연구기관, 유통업체, 소비자 단체 등이 함께 참여해 과수산업의 미래 발전을 모색하는 의미 있는 교류의 장으로 마련됐다. 올해 박람회는 전국 각지에서 생산된 신선한 과일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미! 흥미! 꾸러미!라는 3미전략을 통해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수 있는 다양한 전시와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행사기간동안 ▶올해 최고의 과일을 선발하는 2025년 대표과일선발대회 시상식, ▶다양한 신품종 과일을 맛볼 수 있는 신품종 팝업스토어, ▶유명가수 축하공연 및 과일요리대회, ▶싱싱하고 저렴한 과일직거래장터 등이 운영된다. 특히 올해에는 우리과일의 새로움을 기대할 수 있는 과일칵테일바, AI 사진관, 우리과일 실감체험, 과일 탐험대 등 어린이를 동반한 가족단위 관람객들이 즐기면서 국산과일을 자연스럽게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