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농진원 "온실가스 감축 농가 발굴"...감축실적 거래로 새 소득원

- 한국농업기술진흥원 "저탄소 선도농가, 난방비는 줄이고, 소득은 올리고"
- 안호근 원장 "온실가스 감축은 물론 고유가 시대에 난방비 절감효과까지 기대"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 이하 ‘농진원’)은 저탄소 농업기술을 적용하여 온실가스를 감축한 53농가가 감축실적을 거래하여 총 997백만원(평균 4.5년간)의 신소득을 창출했다고 밝혔다.

농진원은 농림축산식품부가 관장하는 농업부문 배출권거래제 외부사업 운영기관으로, ’17년부터 온실가스 감축농가를 외부사업에 등록하고, 감축실적 승인을 위해 힘써왔다.

대상농가는 저탄소 농업기술 중 히트펌프(지열, 공기열)를 활용하여 외부사업에 등록된 농가로, 온실가스 감축실적으로 총 42,760톤CO2를 인증 받았으며, 농진원은 이를 배출권거래제 할당대상업체와 거래할 수 있게 지원하여 농가당 연간 평균 603만원의 신소득을 창출했다.

이 중 11농가는 올해 말까지 감축실적을 상쇄배출권(KCU)으로 전환해야 하는 농가이나, 자발적으로 거래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농진원에서 구매기업(포천민자발전)을 연계하여 감축실적을 거래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상쇄배출권(KCU, Korean Credit Units)은 외부사업 인증실적(KOC)을 할당대상업체가 할당목표를 채우는 용도로 전환한 배출권이다.

이 외 42농가는 농진원-서부발전-제주도농업기술원이 상생협력을 추진한 제주지역 시범사업 농가로, 감축실적을 인증받으면 서부발전에서 검증비 지원 및 감축실적을 구매해 주는 혜택을 보고 있다.

특히, 겨울철 하우스 난방에 많이 쓰이는 면세등유는 2020년 10월 600원대에서 지난달 1천400원을 돌파해, 불과 2년 만에 2배 이상 뛰었다.

농가는 지열‧공기열 히트펌프를 활용하여 화석연료 사용량을 줄여 온실가스 감축은 물론 고유가 시대에 난방비 절감효과를 톡톡히 볼 수 있다.
농가당 연간 평균 270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하면 연간 8,000만원(면세등유 745원/L 가정) 정도의 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다.

농진원 안호근 원장은 “우리나라 시설원예의 난방연료는 유류 비중이 82%로 높아 고유가 시대에 농가 경영을 압박하는 요인이 된다”며 “앞으로도 농진원은 농가들이 자발적으로 저탄소 농업기술을 도입하고, 감축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정부지원 및 기업과의 상생협력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