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국내 '육묘산업' 성장세...1,989억원 팔려 22% 증가

- 국립종자원, 종자산업 현황 2021년 기준 육묘업 실태조사 결과 발표

 

국립종자원(원장 김기훈)은 종자산업법에 따라 실시한 2021년 육묘업실태조사 결과 육묘업체의 판매액은 1,989억 원(공공기관 판매액 526억 원을 포함할 경우 총 2,515억 원)으로 2018년(1,632억 원) 대비 21.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육묘 판매액(전체 1,989억 원) 중 국내 판매액은 1,978억 원(99.4%), 해외 수출은 11억 원(0.6%)으로 육묘 판매는 거의 대부분 내수에 의존하고 있다.
육묘 이외 판매액(농산물 판매) 등을 합한 업체의 총판매액은 3,398억 원으로 2018년 2,575억 원 대비 32.0% 증가했다.

산업구성은 1,431개 업체 중 육묘 판매액 1억 5천만 원 미만의 소규모 업체가 1,171개(81.8%)를 차지하는 영세한 산업 구조이다.
중소규모(1억 5천만~4억 원 미만)는 148개 업체(10.4%), 중규모(4억~9억 원 미만)는 72개 업체(5.0%), 대규모(9억 원 이상)는 40개(2.8%) 업체이다.

 


품목군별 판매액은 2021년 육묘 판매액은 모든 품목군에서 2018년보다 증가하였으며, 품목별 판매 규모는 채소, 식량, 화훼육묘 순이다.

육묘 판매액 1,989억 원 중 채소 묘가 78.6%인 1,564억 원(2018년 대비 17.2% 증가)으로 나타나 육묘업체의 주력품목군인 것으로 파악됐다.
식량작물 육묘는 286억 원으로 14.4%(2018년 대비 11.3% 증가), 화훼 묘는 5.7%인 114억 원(2018년 대비 171.4% 증가)이며, 특용·사료 등 기타 묘의 경우 25억 원으로 1.3%(2021년 신규)이다.

육묘업체의 주요 판매처는 재배 농가의 비중이 가장 높으며, 농약상/종묘상, 일반소비자, 묘 도매상 등의 순으로 판매가 이루어지고, 수출은 극히 일부 이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육묘업체 판매처별 비중은 재배 농가가 64.1%(2018년 61.6%), 농약상/종묘상 10.8%(2018년 13.4%), 일반소비자 8.5%(2018년 12.0%), 묘 도매상 7.7%(2018년 4.0%), 농협 4.3%(2018년 3.1%)를 차지하고 있다.

육묘 수출대상국은 (’18년) 3개국(네덜란드, 미국, 일본)에서 (’21년) 7개국(네덜란드, 미국, 일본, 대만, 캐나다, 멕시코, 중국)으로 4개국 확대되었으나, 판매 비중은 0.1%에 불과하다.
2021년 육묘업체 전체 종사자 수는 7,437명으로 2018년 5,287명보다 40.7% 증가하여 농업 분야 일자리 창출에 일부 기여하고 있다.


전체 종사자 가운데 상용직이 1,538명(20.7%), 임시/일용직 3,447명(46.3%), 자영업자 1,172명(15.8%), 무급가족종사자 1,179명(15.9%), 기타 종사자는 101명(1.3%)이며, 이는 2018년 종사상 지위별 비중과 비슷한 수준이다.

육묘업체의 묘 생산 및 품질관리 전문인력 증가로 업체의 전문성은 향상되었으나 인력의 고령화는 증가하고 있다.
육묘업체의 묘 생산 및 품질관리 전문인력은 3,504명으로 2018년 대비(2,224명) 57.6% 증가하였으나, 60세 이상 전문인력의 비중은 44.1%로 2018년 대비(36.0%) 8.1% 상승했다.

 


육묘업체의 정부 지원 희망분야는 육묘장 시설 개보수 비용 지원이 40.4%로 가장 높은 비중 점유이다.
다음이 운영자금 지원 24.6%, 육묘 자동화 설비 개발 및 보급 지원 18.3%, 육묘 관련 전문인력 육성 및 수급 지원 3.5% 등의 순이다.

조경규 국립종자원 종자산업지원과장은 “이번 2차 육묘업 실태조사가 국내 육묘 산업의 현재를 조명하고, 향후 정책 지원 및 육묘산업 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각 분야에서 활용되길 희망한다”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육묘업 실태조사는 종자산업법 개정('17.12월 시행)으로 육묘업 등록이 법제화된 이후 2018년 기준 통계에 이어 두 번째로 실시한 조사이다.
조사는 '21년 말까지 육묘업을 등록한 2,332개 업체 가운데 실제 영업 중인 1,472개 업체(폐업, 휴업, 복수 등록 등 제외) 중 통계에 응답한 1,431개 업체(응답률 97.2%)의 응답 결과이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aT, 삼성웰스토리와 손잡고 베트남에 K-푸드 전파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홍문표)는 삼성웰스토리(사장 정해린)와 함께, 베트남 북부에 위치한 삼성 법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7월 18일부터 30일까지 한국산 닭고기를 활용한 ‘K-급식 체험 홍보 행사’를 개최했다. 삼성웰스토리는 베트남, 중국, 헝가리 3개국에서 해외 단체급식을 제공하고 있으며, 급식 메뉴 개발 시 K-푸드를 적극 활용하는 운영 방식을 통해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또한 직영하는 마트 내 K-푸드 입점 품목을 꾸준히 늘려 K-푸드 수출 저변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aT와 삼성웰스토리가 지난해 10월 국산 농식품 수출 다변화를 위해 체결한 업무협약과 연계한 협력사업으로, 베트남 최대 수출 품목인 한국산 닭고기의 소비 저변과 수출 확대를 위해 기획됐다. 행사는 베트남 북부에 위치한 삼성 법인 내 9개 사업장에서 총 3차례 진행됐으며, 한국 영계를 활용한 삼계탕, 옛날통닭 등 1만 8000식의 특식이 제공됐다. 특히 한국의 초복과 중복 시기에 맞춰 행사를 진행하며 ‘이열치열’로 더위를 이겨내는 한국식 식문화를 소개해 현지 반응을 이끌었다. 현장에서는 삼계탕 부재료를 비롯해 향후 공장 내 미니마트에 입점 예정인 다양한 K-푸드를 전시·시식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