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저수지 또 터질라!.....밀양 ‘요고저수지’ 긴급 방류!

한국농어촌공사, 제당 복통 주변 허용치 이상 누수 발견, 응급복구 착수

 

 

<!--[if !supportEmptyParas]--> <!--[endif]-->

한국농어촌공사(사장 이상무)는 경남 밀양시 청도면 요고저수지에 대한 긴급점검 결과, 복통주변에서 허용 누수량을 초과한 누수가 진행되고 있으며 점토분 유출이 발견됨에 따라 재해예방차원에서 긴급방류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농어촌공사 관계자는 “25일 농어촌공사 산하 기술안전품질원에서 긴급점검을 실시한 결과, 복통과 연결된 방수로 하단부에서 100미터 허용누수량인 1.0/sec를 초과한 1.7/sec가 유출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이 관계자는 유출수에 점토성분의 토립자 성분이 발견되는 등 응급복구가 필요한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농어촌공사는 저수지 제당의 안전성 확보와 추가안전점검이 시급하다는 판단에 따라 현재 영농기를 대비하여 만수위를 유지하고 있는 저수량을 66%까지 낮추기 위해 하루 3만톤씩 7일간 21만톤의 용수를 방류할 계획이다.

 

농어촌공사는 이러한 상황을 농림축산식품부에 신속히 보고하고 공사 기술안전품질원 관계자와 관련기관 전문가들을 현장에 급파, 긴급안전대책 마련에 나섰다.

또한 지난해 4월 경주 산대저수지 붕괴와 같은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재해예방을 위한 사전대책을 강화하는 한편 밀양시와 밀양소방서 등 관련기관에 저수지 방류와 긴급안전대책 상황을 통보하고 만일의 상황에 대비 비상근무에 돌입했다.

 

1976년도에 준공된 요고저수지는 제당길이가 212미터, 높이가 17. 2미터, 총저수량 632천톤 규모의 1종 저수지로서 지난해 12월 밀양지사의 자체 안전점검에서 제당 하단부 누수로 C등급을 받은 바 있다.

농어촌공사는 해빙기를 맞아 오는 17일부터 다음달 14일까지 공사가 관리하고 있는 3,372개 저수지 중 D등급 저수지 272개소에 대한 안전점검을 실시할 계획이다.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