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산림 ESG

산림청 임산물 불법채취 단속, ‘주먹구구’

박완주 의원, “산림자원 보존을 위해 모든 임산물별 불법채취 조사 실시해야”

산림청 임산물 불법채취 단속, ‘주먹구구

박완주 의원, “산림자원 보존을 위해 모든 임산물별 불법채취 조사 실시해야

산나물·산약초 불법채취 단속건수, 2015년 대비 작년 62% 급증 

산나물·산약초 불법채취가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산림청은 산나물·산약초를 제외한 나머지 임산물의 불법채취에 대해서는 수수방관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박완주 의원(더불어민주당·충남 천안을)이 국정감사를 앞두고 산림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산나물·산약초 단속현황>을 분석한 결과산나물·산약초 불법채취 건수는 2014 1,189, 2015 1,305, 2016 2,119건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특히 2015년 대비 2016년 불법채취 건수는 약 62% 급증했다.

 

동 기간 총 단속건수 4,613건 중 형사입건은 203훈방은 4,410건이다.

입건 203건으로 인한 피해액은 총 22천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2015년 대비 2016년 입건건수는76%나 증가했고이에 따라 피해액은54백만원에서 15천만원으로 2.7배나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같은 기간 산나물·산약초 불법채취 건수가 가장 많이 적발된 지역은 전북이1,910건으로 가장 많았고뒤를 이어 충남 513충북 480건 순이다.

반면 불법채취로 인한 형사입건 건수는 경북이 시·도 총계 75건 중 52건으로 69%에 달하면서불법채취 강도가 가장 심각했다피해액은 13천만원으로 시·도 총계 14천만원의 90%를 차지했다산림청 중에서는 남부청이369건으로 가장 많았고이어 동부청176북부청 141서부청 108,그리고 중부청 48건 순이다. 

이처럼 산나물·산약초 불법채취가 전국적으로 기승을 부리고 있지만산림청은 산나물·산약초를 제외한 나머지 임산물 불법채취에 대해서는 관리조차 않고 있다산림자원법 제73조는 제1항은 “산림에서 그 산물을 절취한 자는7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규정하고 있다산림청은 산림자원법에 따라 모든 임산물을 대상으로 불법채취 단속을 한다면서도관련 통계는 관리하지 않고 있다.결국 전국적으로 임산물 불법채취가 얼마나 발생하고 있는지 파악조차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불법채취가 이뤄지는 임산물 종류에는 봄에는 산나물가을에는 버섯과 수실류그리고 겨울에는 겨우살이 등 다양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완주 의원은 “산림자원 보존을 위해 존재하는 산림청이 임산물 불법채취 현황마저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산림청은 즉각 불법채취가 벌어지는 모든 임산물을 대상으로 관리 대상을 확대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나아름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어촌공사 국제농업협력 화제!... ‘캄보디아 채소 생산자립’ 씨앗 심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와 한국농어촌공사(사장 김인중)는 캄보디아 몬둘끼리 지역에서 현지 시각 9일 ‘산지지역 고부가가치 채소 생산 및 가치사슬 개선 사업’ 준공식과‘산지채소연구소’ 개소식을 동시에 개최했다고 11일 밝혔다. 준공식에는 옹 코살 캄보디아 농림수산부 차관, 김원집 주캄보디아 대한민국 대사관 서기관, 농림축산식품부 유영숙 주무관, 김우상 한국농어촌공사 기반사업이사 등 양국 관계자 180여 명이 참석했다. 행사는 산지채소연구소 시설을 소개에 이어, 연구소를 캄보디아 측에 공식적으로 인계하는 서명식 순으로 진행됐다. 농식품부와 공사는 2010년부터‘쌀산업 일관 체계 구축사업’을 시작으로 캄보디아의 식량 주권 확립과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위해 10개의 국제농업협력사업(ODA)을 진행해 온 바 있다. 이번 ‘산지 지역 고부가가치 채소 생산 및 가치사슬 개선 사업’은 캄보디아의 자체적인 농업 경영을 위한 이정표가 됐다. ◇ 채소 수입국에서 생산국으로...캄보디아의 자급전략 캄보디아는 채소 생산량이 국내 수요에 미치지 못해 상당량을 수입하고 있다. 이에 캄보디아 정부는 자국 내 채소 생산량 확대와 자급률을 높이기 위해 ‘작물생산 농업 분야 발전 마스터플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경농, '노균병, 걱정 뚝'…시금치계의 ‘강철템’!
여름철 농작물 재배를 어렵게 하는 것은 각종 병해다. 고온다습한 기후로 인해 발생하는 병해는 작물의 품위를 떨어뜨리고 생산성을 크게 감소시킨다. 이 때문에 내병성 품종을 고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경농의 종자 전문 브랜드 동오시드의 여름 전용 시금치 ‘다크그린’과 ‘블랙다이아’는 노균병에 특히 강해 수확량은 물론 재배 편의성도 크게 향상시킨다. 다크그린은 더위에 매우 강해 동오시드가 더운 여름철에 특히 강력 추천하는 시금치다. 극만추대성으로 노균병에 매우 강하며 토양 적응성이 좋고 내습성이 뛰어나 위조병 내병성도 지녔다. 또한 수확기에도 작물이 망가지기 않고 밭에서 잘 버티는 재포성도 훌륭하다. 엽색은 매우 진하고, 모양이 우수하다. 엽면이 잘 서있어 작업하기에도 용이한 품종이다. 블랙다이아는 노균병에 매우 강한 품종이다. 잎의 색이 변하거나 시드는 등 노균병에 따른 피해 우려를 크게 줄인다. 또한 토양적응성이 좋고, 내습성도 훌륭해 여름철 고온다습한 환경에서도 재배안정성이 높다. 엽색이 매우 진하고 광택이 우수해 상품성이 뛰어나다. 내병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다수확 품종으로, 최고의 상품성을 보장한다. 동오시드 관계자는 “두 품종 모두 엽색 등 품질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