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제주 신성장 동력 종자산업 육성에 박차

로열티 지출 제로화, 수출용 우량품종 개발 보급위한 제주 품종 개발

제주의 새로운 성장 동력산업을 종자산업 육성에서 찾기 위한 연구 개발 사업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원장 이상순)은 UPOV 협약으로 '12년부터 감귤 등 도내에서 재배하고 있는 모든 작물이 품종보호대상으로 지정되면서 로열티 경감과 품질고급화를 위한 우량 신품종 육성 보급에 힘 쓸 것이라 강조했다.

농업기술원은 올해 말까지 국비를 포함해 국가 골든씨드프로젝트(GSP)와 공동으로 242백만 원(국비 67, 지방비 175)의 사업비를 투입한다.

주요 내용으로는 2012년 제주형 감귤 신품종 ‘상도조생’을 개발한데 이어 올해 말까지 3품종을 개발하고, 2020년까지 7품종을 추가로 개발할 계획이다.

감자, 녹차를 대상으로 유색(有色)기능성 품종 육성과 제주지역 적응성 연구 사업도 추진한다.

특히, 백합과 국화 등 수출 주력 화훼 작물은 로열티 지출 ‘0’화를 위해 기술원과 도내 육종 전문가와 공동으로 제주 품종 육성과 100%자급을 위해 연구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농산물원종장 내에 ‘백합종자 생산 종합처리시설’을 완비해 2018년 부터는 도내에서 필요한 백합종자 100%를 자급할 수 있을 전망이다. 박시경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원, ‘사료용 맥류 보급종 종자’ 9월 15일부터 농가 신청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이 9월 15일 오전 9시부터 사료용 맥류 4작물 4품종(청보리, 호밀, 트리티케일, 겉귀리)의 보급종 종자를 농가단위 개별신청을 받아 보급한다. 이번 신청은 ‘종자광장’ 누리집을 통해 선착순으로 진행되며, 휴대전화 등 모바일 기기를 통한 신청도 가능하다. 신청자는 ‘종자개별신청’→ ‘신규신청’ 메뉴에서 배송정보를 입력하고 원하는 종자를 선택한 후, 입금 안내 문자를 수신 받아 입금 절차를 완료해야 한다. 입금자명과 신청자명이 일치해야 배송되기에 주의가 필요하다. 신청 가능 품종과 수량은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고 신청 취소 등으로 변동이 있을 수 있다. 이번에 보급되는 품종은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북부작물연구센터에서 육성한 청보리 ‘유진’, 호밀 ‘대곡그린’, 트리티케일 ‘한영’, 겉귀리 ‘하이스피드’ 등으로 포장 단위는 20kg이다. 전량 미소독 상태로 공급되며, 공급가격은 청보리 36,000원, 호밀 45,000원, 트리티케일 40,000원, 겉귀리 42,000원이다. 가을에 파종하는 맥류는 겨울철을 견뎌야 하므로 파종 지역의 기후와 품종 특성을 반드시 확인한 후, 적합한 품종을 신청하길 권고한다. 청보리 ‘유진’은 1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