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소 분뇨로 바이오가스 만든다

농촌진흥청, 수평 교반식 바이오가스 발효조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젖소와 한우 분뇨를 이용해 바이오가스화 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소똥 등 고형물 함량이 20∼40 %정도 되는 원료를 혐기소화시켜 바이오가스를 만드는 것을 건식소화 방법이라 한다. 건식소화의 효율적 진행을 위해서는 교반(뒤섞음)이 필요하지만 아직 국내에서는 관련기술이 개발되지 않아 건식소화 기술이 적용되지 않았다. 이를 위해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에서는 수평 교반식 바이오가스 발효조를 개발해 메탄생성 효율을 높였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에서 젖소와 한우 똥을 이용해 건식소화 시험을 수행한 결과, 바이오가스 발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메탄함량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 젖소분과 한우 똥을 건식 소화하는 과정에서 교반을 실시한 경우 건식소화 시작부터 약 15일 경과 시까지 바이오가스 발생량이 교반하지 않은 경우보다 약 28 %이상 더 많이 발생하고 20일 경과 시에도 약 10 % 이상 더 많이 발생해 혐기소화 초기부터 메탄 발생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는 돼지분뇨 슬러리(분과 뇨가 섞인 혼합물)를 이용한 바이오가스화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에서도 퇴비단과 여과상을 겸한 메탄 생산기술을 개발해 보급한 바 있다.

SCB-M 시설은 소화폐액을 품질 좋은 액비로 전환해 농경지에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곽동신 livesnews.com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강호동 농협회장, 국빈만찬 참석 베트남 협력 강화
농협중앙회 강호동 회장은 8월 11일 이재명 대통령이 주최한 한국-베트남 정상 국빈만찬에 참석했다. 이번 만찬에는 한국 측 주요 인사 66명이 초청됐으며, 강 회장은 국내 재계와 금융계를 대표해 자리를 함께했다. 강 회장의 이번 참석은 농협이 지난 수년간 베트남과 맺어온 긴밀한 협력 관계와 지속적인 교류가 반영된 결과다. 농협은 금융, 농업기술, 사회공헌 등 다양한 분야에서 베트남과의 실질적 협력을 이어왔으며, 이러한 연계성이 베트남 최고위 인사와의 공식 외교무대에서도 높이 평가되었다. 농협은 2009년 NH투자증권이 베트남에 첫 사무소를 개설한 이후 금융·무역·농식품 유통·협동조합 교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확장해왔다. 현재 중앙회, 농협은행, NH투자증권, 농협무역 등 총 7개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농협은행은 하노이지점에 이어 영업 네트워크 확대를 위해 호치민지점 설립을 추진 중이다. 중앙회와 무역 부문에서도 농식품 수출품목 확대 방안을 검토하며 베트남 내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특히 농협은 협동조합이라는 동일한 성격을 가진 베트남 협동조합연맹(VCA)과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2018년 MOU 체결 이후 연수 프로그램, 대표단 교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