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살균패드’로 과일 유통기간 연장 ‘기대’

농진청, 장기저장이 가능한 ‘살균패드’ 품질 평가회

주로 8∼10월에 수확돼 시중에 유통되는 국산 포도가 겨울철에도 구입이 가능하다는 반가운 소식이 들린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포도 수확 후 장기저장이 가능한 살균패드를 개발해 현장실용화에 성공했으며 지난 13일 천안에서 장기저장 포도의 품질평가회를 개최했다. 기존에는 상온 또는 저온저장 방법만으로 포도를 저장했는데 이 방법 저장과 유통시 품질이 쉽게 변해 부패되기 때문에 장기저장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농촌진흥청 저장유통연구팀에서는 기존의 수입산 포도에 활용되것을 국내재배 포도에 이용될 수 있도록 국산화한 살균패드를 개발하게 됐다. 이 살균패드는 아황산가스 농도를 지속시켜 저장 중 부패방지가 가능하며 포도알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해준다. 사용방법은 포도 저장 전에 포장용기 내에 살균패드를 1∼2매 넣고 저온에 보관한 후 판매 1일 전에 포장 상단부를 개봉해 환기시키면 된다. 냄새도 나지 않고 인체에도 해가 없으며 또한 포장상자에 살균패드만 넣기만 하면 돼 운반 시에도 매우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제 ‘거봉’ 포도에 살균패드를 사용한 결과, 무처리에 비해 저장기간이 2배 이상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 영천에서 현장실증 평가한 결과, MBA 포도 5kg 상자 당 15,000원의 가격을 받았으며, 더불어 포도저장 기간이 4개월 정도로 늘어나면서 인근농가 대비 소득이 20∼30 % 향상된 것으로 조사됐다.

살균패드는 처리비용 대비 부가적 가치를 높이는 효과와 함께 장기간 유통된 수입산 포도에 비해 우수한 품질의 국산포도 판매경쟁력을 높여 농가소득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나남길 livesnews.com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촌진흥청, 저탄소 농업에 박차!... '감탄' 벼 품종개발 화제
8월 18일은 쌀 산업의 가치 인식을 확산하고 쌀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지정된 '쌀의 날'이다. 쌀은 오랜 세월 우리 민족의 주식(主食)으로 자리해 온 중요한 곡물이다. 과거에는 생존과 직결된 식량이자 농경사회와 공동체 문화를 형성하는 핵심 작물이었고, 현대에는 농촌 경제의 중심이자 식품산업과 국가 식량안보를 견인하는 중요한 자원으로서 가치를 지닌다. 최근 이상기후와 병해충의 증가, 온실가스 배출 문제 등으로 벼 재배 여건이 악화하면서, 쌀 생산을 둘러싼 농업 환경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농촌진흥청은 메탄 발생을 줄이면서도 품질과 생산성은 갖춘 저탄소 벼 품종 ‘감탄’을 개발해 기후 위기 대응 및 농업 탄소 감축에 노력하고 있다. ‘감탄’은 유전자 조작 등 인위적인 방법을 쓰지 않고 자연적으로 벼에서 발생한 ‘지에스쓰리(gs3)’ 유전자를 전통 육종 방법으로 도입해 개발한 품종이다. 벼는 생장하면서 뿌리에서 메탄을 발생시키는 고세균 먹이 물질(메타노젠)을 배출하는데, 지에스쓰리 유전자는 이 물질이 적게 분비되도록 작동해 메탄 발생을 줄이고 대신 벼알을 굵게 하는 역할을 한다. - 2030년까지 농수축산업 온실가스 27.1% 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