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아시아종묘, 바이러스에 강한 탄저내병성계 고추

탄저병내병성계 “타네강” 출시, 일부는 무상공급을 통해 농가에 공급예정


 

아시아종묘(대표이사 류경오)의 생명공학육종연구소 고추육종팀은 탄저병 내병계고추 타네강을 육종하고 전국각지의 시험재배를 거쳐 2015년 탄저병 내병계 신품종 고추로 본격 출시됐다.



타네강은 타 품종에 비해, 탄저병에 대한 바이러스가 비교적 강한 탄저병 내병성계로 건과 품질도 우수하고 다수확종으로 연속 착과력도 좋음 품종으로 평가되었다. 이번에 타네강을 개발한 아시아종묘 생명공학육종연구소의 고추육종팀은 고추육종만 전념해온 40년 베테랑의 류장상 고문과 김기준 박사를 주축으로 고추재배농가들이 고질적이라고 생각하는 고추 탄저병을 어느 정도 해소하고자 지속적인 복합내병성 품종을 육종하여 얻은 쾌거이다.


고추 탄저병내병성계를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하고 있는 아시아종묘는 이번에 개발한 타네강외에도 홍초탄, 탄사형통, 신호탄 “ 3품종을 개발하여 시험재배에 들어가고 있다. 이들 품종은 아시아종묘의 지점망을 통하여 전국농가에 일정량, 무상으로 공급할 예정이며 농가들의 골칫거리인 탄저병해소에 도움을 줄 예정이라고 밝혔다.


바이러스에 강하고 탄저병 내병성계인 신품종 3가지의 특성을 살펴보면 홍초탄은 대과종으로 과경도 굵고 초세가 강하며 절간이 짧은 화건 전용으로 착과력도 좋고 다수확종에 상품 과율이 좋은 품종이다. “탄사형통은 후기 연속착과력이 강한 품종으로 생과 형태도 우수하여 홍초 출하로도 적격이며, 과의 광택이 강해 건과품질로도 좋다는 평가 이다. “신호탄은 수량성이 많은 다수확의 조생종 품종으로 초세가 강하고 후기 수량이 많으며 광택, 건과색, 건과형이 좋은 품종으로 알려지고 있다.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