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농업전망’ 토론중심으로 1월20일 경기도인재개발원‧22일 화순‧27일 경주‧29일 아산

2015년 농업전망대회는 “농산물 수급안정방안, 현장에서 찾는다”를 캐치프레이즈로, 농업인유통인의 영농 의사결정 지원에 주력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개편

폭등과 폭락을 막자!농업전망대폭 개편

토론중심으로 120일 경기도인재개발원22일 화순27일 경주29일 아산

 

2015년부터 농업전망대회가 대폭 개편돼 발표된다.

이번 2015년 농업전망대회는 농산물 수급안정방안, 현장에서 찾는다를 캐치프레이즈로, 농업인유통인의 영농 의사결정 지원에 주력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개편된다.

첫째, 중앙대회(서울)를 폐지하고 품목별 주산지 중심의 권역별 대회로 개편한다.

최근 대다수 농업 관련 기관이 지방으로 이전하고 아울러 지자체의 역할 강화가 요구되는 상황에서 중부권 등 5개 권역으로 나누어 대회를 개최하여 접근성의 제고는 물론 유관기관단체 간 협력을 통한 자율적인 영농 및 유통대책을 마련해 나가도록 유도해 나간다.

둘째로, 행사장소를 호텔 위주에서 대학교, 지역문화센터, 공무원연수원 등으로 변경한다.

셋째로, 기존 단순 정보전달 방식에서 농업인 등 이해당사자의 직접적인 참여를 통한 농업경영, 수급대책방안 토의방식으로 개편한다.

기존에는 정부의 주요 정책과 품목별 농업관측 전망정보를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수준이었으나, 주요품목별 정부의 수급안정대책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전망 발표 후, 농업인생산자단체 주도하에 지자체 등과 같이 생산자단체 역할 등에 대해 종합토론하여 선제적 수급안정 대책 등을 모색할 계획이다. 전망대회 관계자는 이번 개편을 통해 농업전망대회가 정보전달과 의전행사로만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생산 및 수급안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전망대회에서 생산되는 정부 정책방향, 품목별 수급전망 정보 및 토의결과는 인터넷(http://aglook.krei.re.kr)을 통해 전국민에게 모두 공개한다. 박시경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