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닭·오리고기 소비촉진 공모전’

농촌진흥청, ‘헬스바’, ‘저온진공 조리법’ 등 아이디어 풍성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닭 · 오리고기 소비 촉진을 위한 아이디어 8점을 선정했다.

제품 개발 61건, 품질 개선 63건, 조리법 19건 등 모두 143개의 아이디어 중 최우수상 1점, 우수상 2점, 장려상 5점을 선정했다. 이번 공모전은 닭고기와 오리고기 소비를 늘리고 축산연구개발의 방향을 정하기 위해 지난 9월 1일부터 11월 6일까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최우수상은 김현진 씨의 <닭 가슴살, 오리 가슴살을 이용한 ‘헬스바’, ‘다이어트바’>가 뽑혔다. 고단백질 식품인 가슴살과 열량이 낮은 우뭇가사리를 이용해 운동이나 체중 조절 시 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막대 형태로 만든 과자를 제안했다. 조리 없이 바로 먹을 수 있고 가지고 다니기도 편해 늘어나는 건강식품 수요를 충족해 수입 단백질 보충식품 대체 효과도 기대된다.


우수상은 2점이다. 임나래 씨는 <더하는 맛, 빼먹는 재미 ‘치킨 온 어 스틱(chicken on a stick)’>을 제안했다. 버섯과 양파, 떡 등 여러 재료를 닭꼬치구이 묶음으로 구성해 소비자가 덜 좋아하는 부위에 대한 생각의 변화를 이끈다는 의견이다.


이민재 씨는 진공 용기 안에 소금과 후추, 허브를 곁들여 조리하는 <‘Sous Vide Chicken Ham(수 비드 치킨 햄)’의 제품화>를 제안했다.

 

수 비드는 진공상태로 저온(40℃∼50℃)의 물속에서 장시간 조리하는 프랑스 조리법이다.장려상은 ‘반 마리 포장 판매’, ‘닭 · 오리 특징물과 홍보 노래 제작’, ‘지역 식재료 판매’, ‘이력 관리 제도와 응용프로그램 개발’, ‘중소육가공업체와 소규모 농장 홍보’ 등 5점을 선정했다.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인천 APEC 장관회의... ‘K-푸드’ 경쟁력 알리는 기회!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홍문표)는 ‘2025 APEC 식량안보장관회의(FSMM)’와 연계해 4일부터 10일까지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농식품 홍보관’을 운영하며 K-푸드의 우수성과 브랜드 가치를 집중 홍보한다. aT는 이번 회의에 각국 농업 관련 정책을 총괄하는 고위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하는 만큼, 농식품 홍보관을 통해 K-푸드의 경쟁력과 성장 가능성을 소개해 수출 확대 계기를 마련할 방침이다. ‘수출농식품관’에서는 라면, 냉동김밥, 떡볶이 등 주요 수출 품목과 함께 간편 비빔밥, 식혜 등 유망 가공식품, 딸기·파프리카 등 신선 농산물을 전시해 우리 농식품의 품질과 다양성을 소개한다. 아울러 ‘전통식품관’에서는 장류, 전통차, 전통주 등 대한민국 식품명인이 만든 우수 제품을 중심으로 구성한다. 도자기, 소반, 한지 소품 등 전통 소재를 함께 배치해, 한국 고유의 식문화와 미감을 한눈에 체험할 수 있도록 연출했다. 이 밖에도, 파우치형 배음료와 식혜 등 수출 유망 음료 시음 기회를 제공하고, 떡과 약과 등 한식 디저트도 함께 즐길 수 있도록 준비해 현장에 높은 호응을 얻었다. 홍보관을 찾은 한 외국 고위급 관계자는 “K-푸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인천 APEC 장관회의... ‘K-푸드’ 경쟁력 알리는 기회!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홍문표)는 ‘2025 APEC 식량안보장관회의(FSMM)’와 연계해 4일부터 10일까지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농식품 홍보관’을 운영하며 K-푸드의 우수성과 브랜드 가치를 집중 홍보한다. aT는 이번 회의에 각국 농업 관련 정책을 총괄하는 고위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하는 만큼, 농식품 홍보관을 통해 K-푸드의 경쟁력과 성장 가능성을 소개해 수출 확대 계기를 마련할 방침이다. ‘수출농식품관’에서는 라면, 냉동김밥, 떡볶이 등 주요 수출 품목과 함께 간편 비빔밥, 식혜 등 유망 가공식품, 딸기·파프리카 등 신선 농산물을 전시해 우리 농식품의 품질과 다양성을 소개한다. 아울러 ‘전통식품관’에서는 장류, 전통차, 전통주 등 대한민국 식품명인이 만든 우수 제품을 중심으로 구성한다. 도자기, 소반, 한지 소품 등 전통 소재를 함께 배치해, 한국 고유의 식문화와 미감을 한눈에 체험할 수 있도록 연출했다. 이 밖에도, 파우치형 배음료와 식혜 등 수출 유망 음료 시음 기회를 제공하고, 떡과 약과 등 한식 디저트도 함께 즐길 수 있도록 준비해 현장에 높은 호응을 얻었다. 홍보관을 찾은 한 외국 고위급 관계자는 “K-푸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