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설갱벼’의 숨겨진 비밀?

가공용‧특수미 개발로 쌀가공 기여

용도에 맞는 쌀 품종 개발과 보급이 활발해지면서 쌀 가공 산업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에서 개발한 ‘설갱’은 매우 부드럽고 잘 으깨져 누룩균이 쌀에 잘 달라붙고 번식도 왕성해 맛과 향기가 좋은 술을 만들 수 있는 품종이다.


전통주 제조업체인 ㈜국순당은 제품 8종의 원료곡으로 ‘설갱’을 사용하면서 2008년부터 1000여 농가와 계약 재배를 추진, 1645톤을 수매했다. 아울러, 농가는 안정적인 수익을, 업체는 품질 좋은 원료를 지속적으로 확보하고 있다.


이 같은 양조용 벼를 개발할 수 있었던 것은 ‘화학적 돌연변이 육종법’ 덕분이다. 이는 화학물질을 식물체에 처리해 후대에 발생하는 유용한 변이체를 선발·육성하는 것이다. 다른 종의 유전자를 삽입하는 유전자변형작물(GMO)과 달리 식품과 환경적인 측면에서 위해성 논란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농촌진흥청은 1997년부터 돌연변이 육종 기술을 이용해 ‘일품벼’의 돌연변이종인 ‘백진주’, ‘고아미2호’, ‘큰눈’을 추가로 개발했다. ‘백진주’는 메벼와 찰벼의 중간특성을 갖고 있다. 밥은 차지고 부드러워 밥맛이 좋고 김밥 같은 가공밥에 알맞다.


특히, 현미밥도 식감이 부드러워 간편밥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고아미2호’는 아밀로스함량이 28.1%로 소화되기 어려운 전분립으로 이뤄져 있다. 일반 쌀보다 체질량 지수와 혈청지질 중 중성지방을 감소시키고, 혈당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품종이다.


 ‘큰눈’은 쌀눈이 일반 쌀에 비해 3배 정도 크고 두뇌활동을 도와 치매를 예방하는 가바(GABA) 성분이 많아 발아현미용으로 좋다. (주)미실란은 ‘삼광’과 ‘큰눈’으로 미숫가루, 현미차 등 가공식품을 개발해 판매 중이며, 지난해 계약 재배 면적을 50ha까지 늘렸다.


농촌진흥청은 이러한 성과로 지난 9월 국제원자력기구(IAEA)로부터 돌연변이 육종분야 ‘업적상(Achievement Award)’을 수상했다. 이 상은 가공용 특수미 품종개발로 쌀 시장 확대에 기여함은 물론, 쌀 가공업체와 농업인의 상생에 기여한 공로를 세계적으로 인정받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인천 APEC 장관회의... ‘K-푸드’ 경쟁력 알리는 기회!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홍문표)는 ‘2025 APEC 식량안보장관회의(FSMM)’와 연계해 4일부터 10일까지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농식품 홍보관’을 운영하며 K-푸드의 우수성과 브랜드 가치를 집중 홍보한다. aT는 이번 회의에 각국 농업 관련 정책을 총괄하는 고위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하는 만큼, 농식품 홍보관을 통해 K-푸드의 경쟁력과 성장 가능성을 소개해 수출 확대 계기를 마련할 방침이다. ‘수출농식품관’에서는 라면, 냉동김밥, 떡볶이 등 주요 수출 품목과 함께 간편 비빔밥, 식혜 등 유망 가공식품, 딸기·파프리카 등 신선 농산물을 전시해 우리 농식품의 품질과 다양성을 소개한다. 아울러 ‘전통식품관’에서는 장류, 전통차, 전통주 등 대한민국 식품명인이 만든 우수 제품을 중심으로 구성한다. 도자기, 소반, 한지 소품 등 전통 소재를 함께 배치해, 한국 고유의 식문화와 미감을 한눈에 체험할 수 있도록 연출했다. 이 밖에도, 파우치형 배음료와 식혜 등 수출 유망 음료 시음 기회를 제공하고, 떡과 약과 등 한식 디저트도 함께 즐길 수 있도록 준비해 현장에 높은 호응을 얻었다. 홍보관을 찾은 한 외국 고위급 관계자는 “K-푸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인천 APEC 장관회의... ‘K-푸드’ 경쟁력 알리는 기회!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홍문표)는 ‘2025 APEC 식량안보장관회의(FSMM)’와 연계해 4일부터 10일까지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농식품 홍보관’을 운영하며 K-푸드의 우수성과 브랜드 가치를 집중 홍보한다. aT는 이번 회의에 각국 농업 관련 정책을 총괄하는 고위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하는 만큼, 농식품 홍보관을 통해 K-푸드의 경쟁력과 성장 가능성을 소개해 수출 확대 계기를 마련할 방침이다. ‘수출농식품관’에서는 라면, 냉동김밥, 떡볶이 등 주요 수출 품목과 함께 간편 비빔밥, 식혜 등 유망 가공식품, 딸기·파프리카 등 신선 농산물을 전시해 우리 농식품의 품질과 다양성을 소개한다. 아울러 ‘전통식품관’에서는 장류, 전통차, 전통주 등 대한민국 식품명인이 만든 우수 제품을 중심으로 구성한다. 도자기, 소반, 한지 소품 등 전통 소재를 함께 배치해, 한국 고유의 식문화와 미감을 한눈에 체험할 수 있도록 연출했다. 이 밖에도, 파우치형 배음료와 식혜 등 수출 유망 음료 시음 기회를 제공하고, 떡과 약과 등 한식 디저트도 함께 즐길 수 있도록 준비해 현장에 높은 호응을 얻었다. 홍보관을 찾은 한 외국 고위급 관계자는 “K-푸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