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시설토양 염해피해를 막아라!

“토양 인산 많을 때 킬레이트제 뿌려라”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시설재배지에서 용화되지 않은 인산으로 인해 비료 사용량이 늘고 토양 염류 집적을 막을 수 있는 기술을 발표, 농가에서 활용해줄 것을 당부했다.


밭 토양에 뿌린 인산질 비료는 뿌린 지 1주일 내에 토양에 고정돼 작물이 이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특히, 시설재배지는 1년에 2기작∼3기작 작물을 재배할 때마다 인산질 비료를 쓰고 있어 토양에 인산이 쌓여 농가의 영농비도 늘고 있는 실정이다.


토양 중 인산의 적정 함량인 350mg kg-1∼500mg kg-1을 기준으로, 이보다 인산 함량이 낮은 경우와 높은 경우에 따라 달라진다. 우선, 인산 함량이 350mg kg-1∼500mg kg-1 범위 안에 들거나 이보다 낮을 때는 가축분퇴비(돈분-계분 퇴비)를 밑거름으로 뿌리고, 인산질 화학비료는 작물 생육 중 추가로 공급하는 것이 좋다.

이때 인산 농도가 높은 가축분퇴비는 시- 군 농업기술센터의 토양 검정 후 발급되는 비료사용처방서 투입량을 뿌려 주고, 액상 형태의 액비나 퇴비차 등도 생육 중 추가로 공급하는 것이 좋다. 인산질 화학 비료는 물에 녹여 수용액 상태로 공급해야 하며, 칼슘과 마그네슘 같은 비료와는 섞어 쓰지 않도록 한다.


인산질 화학 비료를 물에 녹일 때는 킬레이트제나 유기산을 함께 넣으면 토양 중 인산이 용화되지 않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킬레이트제 6.8kg을 끓는 물에 녹여서 1ha당 60톤의 물에 0.01% 농도로 희석한 다음 1주일에 1회씩 토양에 관주(포기별 물주기)하면 된다.  유기산은 찬물에 녹여 1ha당 60톤의 물에 0.02% 농도로 희석해 토양에 관주한다.


토양 중 인산 함량이 350mg kg-1∼500mg kg-1보다 높을 때는 킬레이트제나 유기산, 인 가용화4) 미생물 등을 주기적으로 관주해 토양에 고정된 인산을 활용하도록 한다.


인산 함량이 높은 돈분과 계분 퇴비 대신 인산 함량이 낮은 볏짚 퇴비나 우분 퇴비를 쓰고, 인산질 화학 비료의 사용을 줄인다.


토양 중 인산 함량은 시·군 농업기술센터에 검정을 의뢰해 비료 사용 처방서를 발급받으면 알 수 있고, 농경지 토양을 채취해 의뢰하면 무료로 토양 검정을 받을 수 있다.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인천 APEC 장관회의... ‘K-푸드’ 경쟁력 알리는 기회!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홍문표)는 ‘2025 APEC 식량안보장관회의(FSMM)’와 연계해 4일부터 10일까지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농식품 홍보관’을 운영하며 K-푸드의 우수성과 브랜드 가치를 집중 홍보한다. aT는 이번 회의에 각국 농업 관련 정책을 총괄하는 고위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하는 만큼, 농식품 홍보관을 통해 K-푸드의 경쟁력과 성장 가능성을 소개해 수출 확대 계기를 마련할 방침이다. ‘수출농식품관’에서는 라면, 냉동김밥, 떡볶이 등 주요 수출 품목과 함께 간편 비빔밥, 식혜 등 유망 가공식품, 딸기·파프리카 등 신선 농산물을 전시해 우리 농식품의 품질과 다양성을 소개한다. 아울러 ‘전통식품관’에서는 장류, 전통차, 전통주 등 대한민국 식품명인이 만든 우수 제품을 중심으로 구성한다. 도자기, 소반, 한지 소품 등 전통 소재를 함께 배치해, 한국 고유의 식문화와 미감을 한눈에 체험할 수 있도록 연출했다. 이 밖에도, 파우치형 배음료와 식혜 등 수출 유망 음료 시음 기회를 제공하고, 떡과 약과 등 한식 디저트도 함께 즐길 수 있도록 준비해 현장에 높은 호응을 얻었다. 홍보관을 찾은 한 외국 고위급 관계자는 “K-푸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인천 APEC 장관회의... ‘K-푸드’ 경쟁력 알리는 기회!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홍문표)는 ‘2025 APEC 식량안보장관회의(FSMM)’와 연계해 4일부터 10일까지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농식품 홍보관’을 운영하며 K-푸드의 우수성과 브랜드 가치를 집중 홍보한다. aT는 이번 회의에 각국 농업 관련 정책을 총괄하는 고위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하는 만큼, 농식품 홍보관을 통해 K-푸드의 경쟁력과 성장 가능성을 소개해 수출 확대 계기를 마련할 방침이다. ‘수출농식품관’에서는 라면, 냉동김밥, 떡볶이 등 주요 수출 품목과 함께 간편 비빔밥, 식혜 등 유망 가공식품, 딸기·파프리카 등 신선 농산물을 전시해 우리 농식품의 품질과 다양성을 소개한다. 아울러 ‘전통식품관’에서는 장류, 전통차, 전통주 등 대한민국 식품명인이 만든 우수 제품을 중심으로 구성한다. 도자기, 소반, 한지 소품 등 전통 소재를 함께 배치해, 한국 고유의 식문화와 미감을 한눈에 체험할 수 있도록 연출했다. 이 밖에도, 파우치형 배음료와 식혜 등 수출 유망 음료 시음 기회를 제공하고, 떡과 약과 등 한식 디저트도 함께 즐길 수 있도록 준비해 현장에 높은 호응을 얻었다. 홍보관을 찾은 한 외국 고위급 관계자는 “K-푸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