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대책없이 한·뉴FTA까지 타결!

도태위기 한우산업… 선진국 수준 축산지원 필요

 

한·뉴질랜드 FTA가 15일 타결돼 영연방 FTA가 실질적으로 타결되었다. 미국 FTA, 호주, 캐나다 FTA에 이어 뉴질랜드 FTA 체결로 지난해 수입쇠고기 시장 점유율의 99%를 차지하는 대상국과 FTA를 체결하게 되었다(2013년 수입량기준, 호주 55.6%, 미국 34.6%, 뉴질랜드 8.7%, 캐나다 0.5%).


한우산업은 관세가 점차 낮아지는 15년 이내에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하면 세계 축산강국의 거대자본과 경쟁에서 도태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하지만, 관세 40%로도 수입쇠고기와 겨우 경쟁하고 있는 한우산업이 대규모 자본으로 무장한 축산수출기업과 어떻게 경쟁을 한단 말인가.
정부에서는 향후 우리 축산업이 자급율을 유지할 수 있도록 목표를 세우고 이에 하나하나 대응하는 지원을 해야 한다.


특히 영연방 FTA의 최대 피해자인 한우산업 유지를 위해 축산강대국들과 경쟁을 할 수 있는 수준으로 생산비 절감 방안에 정부가 전폭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특히 사료비는 국제가격 등락이 커 농가 입장에서 대응이 어려워, 수년전부터 한우농가들은 자구적으로 TMR 사료를 이용하여 사료비 절감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TMR 기기 사용시, 농사용이 아닌 산업용전기가 적용돼 농가 부담을 높이고 있는데 정부는 이같은 축산업의 성장을 저해하는 사소한 규제부터 해소해 한우산업의 경쟁력을 키워나가야 한다.


한우산업은 이제 대부분 쇠고기 수입국과 FTA가 완료되어, 무관세시대로 접어들었다. 따라서 정부는 FTA의 수혜를 홍보할 것이 아니라, 피해산업에 대한 지원에 집중해야 한다. 특히 각 산업의 피해도에 상응한 진정성 있는 대책을 마련하는데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아울러 국회에서는 법의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있는 FTA 특별법의 피해보전직불금을 즉각 개정하고, 수혜산업과 피해산업간의 균형을 찾을 수 있도록 무역이득공유제 도입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 주기를 촉구한다. <전국한우협회>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인천 APEC 장관회의... ‘K-푸드’ 경쟁력 알리는 기회!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홍문표)는 ‘2025 APEC 식량안보장관회의(FSMM)’와 연계해 4일부터 10일까지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농식품 홍보관’을 운영하며 K-푸드의 우수성과 브랜드 가치를 집중 홍보한다. aT는 이번 회의에 각국 농업 관련 정책을 총괄하는 고위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하는 만큼, 농식품 홍보관을 통해 K-푸드의 경쟁력과 성장 가능성을 소개해 수출 확대 계기를 마련할 방침이다. ‘수출농식품관’에서는 라면, 냉동김밥, 떡볶이 등 주요 수출 품목과 함께 간편 비빔밥, 식혜 등 유망 가공식품, 딸기·파프리카 등 신선 농산물을 전시해 우리 농식품의 품질과 다양성을 소개한다. 아울러 ‘전통식품관’에서는 장류, 전통차, 전통주 등 대한민국 식품명인이 만든 우수 제품을 중심으로 구성한다. 도자기, 소반, 한지 소품 등 전통 소재를 함께 배치해, 한국 고유의 식문화와 미감을 한눈에 체험할 수 있도록 연출했다. 이 밖에도, 파우치형 배음료와 식혜 등 수출 유망 음료 시음 기회를 제공하고, 떡과 약과 등 한식 디저트도 함께 즐길 수 있도록 준비해 현장에 높은 호응을 얻었다. 홍보관을 찾은 한 외국 고위급 관계자는 “K-푸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인천 APEC 장관회의... ‘K-푸드’ 경쟁력 알리는 기회!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홍문표)는 ‘2025 APEC 식량안보장관회의(FSMM)’와 연계해 4일부터 10일까지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농식품 홍보관’을 운영하며 K-푸드의 우수성과 브랜드 가치를 집중 홍보한다. aT는 이번 회의에 각국 농업 관련 정책을 총괄하는 고위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하는 만큼, 농식품 홍보관을 통해 K-푸드의 경쟁력과 성장 가능성을 소개해 수출 확대 계기를 마련할 방침이다. ‘수출농식품관’에서는 라면, 냉동김밥, 떡볶이 등 주요 수출 품목과 함께 간편 비빔밥, 식혜 등 유망 가공식품, 딸기·파프리카 등 신선 농산물을 전시해 우리 농식품의 품질과 다양성을 소개한다. 아울러 ‘전통식품관’에서는 장류, 전통차, 전통주 등 대한민국 식품명인이 만든 우수 제품을 중심으로 구성한다. 도자기, 소반, 한지 소품 등 전통 소재를 함께 배치해, 한국 고유의 식문화와 미감을 한눈에 체험할 수 있도록 연출했다. 이 밖에도, 파우치형 배음료와 식혜 등 수출 유망 음료 시음 기회를 제공하고, 떡과 약과 등 한식 디저트도 함께 즐길 수 있도록 준비해 현장에 높은 호응을 얻었다. 홍보관을 찾은 한 외국 고위급 관계자는 “K-푸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