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돼지’ 최적의 사육 면적은?

적정 면적 제공하면 방역·치료비 줄고 사료 이용성 높아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돼지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성장 단계별 사육 면적을 제시했다.
씨돼지 개량과 돼지우리 시설 개선에 따라 생산성이 조금씩 늘고 있지만 알맞은 규모의 우리가 부족해 밀집 사육하는 농가가 많다. 국내 평균 돼지 생산성(MSY1))은 양돈 선진국의 70% 수준으로 낮다.


그 원인을 분석한 결과, 낳은 새끼 수, 젖 뗀 후 크는 비율(이유 후 육성률), 모돈 회전율 순이었다. 특히, 젖을 뗀 후 크는 비율이 낮은 데는 돼지우리 내 환기 불량, 밀집 사육이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돼지 성장 단계별 사육 면적은 생산성 향상과 직접 연결된다. 밀집 사육을 하면 서열 형성에 따른 스트레스로 사료 섭취량이 줄고, 허약한 돼지가 많이 발생하는 등 생산성이 떨어진다.


농촌진흥청은 돼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적정 사육 면적을 밝히는 현장 실증 시험을 했다. 돼지 1,060마리를 체중에 따라 5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별로 사육 면적에 따른 성장과 사료 이용성, 혈중 생화학 성분과 호르몬 농도를 조사했다.


조사 결과, 체중 45kg∼65kg에서는 0.64㎡가 0.51㎡에 비해 체중 증가량이 9% 높았고, 사료 요구율은 6% 개선됐다. 체중 85kg∼110kg에서는 0.91㎡가 0.65㎡에 비해 체중 증가량은 17% 높았고, 사료 요구율은 11% 개선됐다. 반면, 폐사율은 6.5% 낮았고, 혈중 코르티솔(cortisol 4)) 농도는 17% 낮았다. 이렇게 적정 사육 면적을 제공하고 사료와 물을 충분히 먹을 수 있도록 20마리 당 사료 용기와 급수기를 각각 1대씩 설치해야 한다.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인천 APEC 장관회의... ‘K-푸드’ 경쟁력 알리는 기회!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홍문표)는 ‘2025 APEC 식량안보장관회의(FSMM)’와 연계해 4일부터 10일까지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농식품 홍보관’을 운영하며 K-푸드의 우수성과 브랜드 가치를 집중 홍보한다. aT는 이번 회의에 각국 농업 관련 정책을 총괄하는 고위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하는 만큼, 농식품 홍보관을 통해 K-푸드의 경쟁력과 성장 가능성을 소개해 수출 확대 계기를 마련할 방침이다. ‘수출농식품관’에서는 라면, 냉동김밥, 떡볶이 등 주요 수출 품목과 함께 간편 비빔밥, 식혜 등 유망 가공식품, 딸기·파프리카 등 신선 농산물을 전시해 우리 농식품의 품질과 다양성을 소개한다. 아울러 ‘전통식품관’에서는 장류, 전통차, 전통주 등 대한민국 식품명인이 만든 우수 제품을 중심으로 구성한다. 도자기, 소반, 한지 소품 등 전통 소재를 함께 배치해, 한국 고유의 식문화와 미감을 한눈에 체험할 수 있도록 연출했다. 이 밖에도, 파우치형 배음료와 식혜 등 수출 유망 음료 시음 기회를 제공하고, 떡과 약과 등 한식 디저트도 함께 즐길 수 있도록 준비해 현장에 높은 호응을 얻었다. 홍보관을 찾은 한 외국 고위급 관계자는 “K-푸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인천 APEC 장관회의... ‘K-푸드’ 경쟁력 알리는 기회!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홍문표)는 ‘2025 APEC 식량안보장관회의(FSMM)’와 연계해 4일부터 10일까지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농식품 홍보관’을 운영하며 K-푸드의 우수성과 브랜드 가치를 집중 홍보한다. aT는 이번 회의에 각국 농업 관련 정책을 총괄하는 고위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하는 만큼, 농식품 홍보관을 통해 K-푸드의 경쟁력과 성장 가능성을 소개해 수출 확대 계기를 마련할 방침이다. ‘수출농식품관’에서는 라면, 냉동김밥, 떡볶이 등 주요 수출 품목과 함께 간편 비빔밥, 식혜 등 유망 가공식품, 딸기·파프리카 등 신선 농산물을 전시해 우리 농식품의 품질과 다양성을 소개한다. 아울러 ‘전통식품관’에서는 장류, 전통차, 전통주 등 대한민국 식품명인이 만든 우수 제품을 중심으로 구성한다. 도자기, 소반, 한지 소품 등 전통 소재를 함께 배치해, 한국 고유의 식문화와 미감을 한눈에 체험할 수 있도록 연출했다. 이 밖에도, 파우치형 배음료와 식혜 등 수출 유망 음료 시음 기회를 제공하고, 떡과 약과 등 한식 디저트도 함께 즐길 수 있도록 준비해 현장에 높은 호응을 얻었다. 홍보관을 찾은 한 외국 고위급 관계자는 “K-푸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