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우리전통 막걸리 물만 국산

정부 수입쌀 소비에 앞장서고 있어


우리 고유의 전통주인 막걸리 원료가 여전히 우리 쌀이 아닌 수입쌀로 대부분 만들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전체 막걸리 제조업체 65.7%가 수입쌀을 막걸리의 원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막걸리 매출액 10위권 내의 기업의 수입쌀 사용비율은 86.1%나 되며, 수출액 10위권 내의 기업의 수입쌀 비율 또한 78.5%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또한 국산 쌀 소비활성화를 노력하기 보다는 수입쌀을 소비 하는데 앞장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쌀 시장 개방을 앞두고 국산 쌀 가공식품의 수출 활성화를 위해 지난 9월에 조직한 쌀 가공식품수출지원단(농림축산식품부)의 가공용 쌀 5개년 수급계획에 의하면 2018년까지 4천86억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국산 쌀 34.3%, 수입산 쌀을 65.7%까지 상시 공급한다는 계획을 세운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난해 기준으로 쌀 가공식품수출 금액은 5,553만 달러로 국내산 43%, 수입산 57%쌀을 사용했으며, 국내 매출액 상위(10개) 쌀 수출업체가 사용한 수입산 쌀은 63%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홍문표 의원은 “우리민족의 애환이 서린 전통술인 막걸리가 물만 우리 것이지 알맹이 대부분이 수입산 이었다는 게 부끄러울 따름이라”며“막걸리 열풍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100% 국산 쌀을 사용한 품질고급화가 선행돼야함은 물론, 정부가 쌀 가공식품 수출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간척지 등을 이용한 쌀 전용단지를 만들어 공급할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박시경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만생종 자두’ 폭염으로 생리장해 우려…관리 철저
농촌진흥청은 지속된 폭염으로 만생종 자두인 ‘추희’ 품종에서 생리장해와 품질 저하 등 농가 피해가 우려된다며, 철저한 관리를 당부했다. 자두 ‘추희’는 일본 품종으로 1990년대 후반 도입돼 2024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자두 재배면적(6,182ha)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다. 자두 주산지는 경북 의성, 김천, 영천으로, 이 가운데 김천(약 250ha) 지역에서 ‘추희’를 가장 많이 재배한다. 지난해 ‘추희’ 재배지에서는 이상 고온으로 바람들이, 내부 갈변 같은 생리장해가 많이 발생해 올해도 주의가 필요하다. 바람들이는 고온으로 증산량이 많을 때 자두 안의 수분이 사라지면 생긴다. 육질이 퍼석해지는 바람들이 현상이 심해지면 세포가 파괴돼 산화반응이 일어나 자두 속살이 갈변한다. 또한, 성숙기 고온이 지속되면 열매 자람이 더디고 착색 지연까지 나타나 겉으로 보기에 수확 시기가 아닌데도 열매 내부가 이미 익어버리는 ‘이상성숙’ 증상도 보인다. 이러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고온과 직사광선에 열매가 노출되지 않도록 햇빛차단망을 설치해야 한다. 햇빛차단망 설치가 어려울 때는 충분한 물주기, 미세살수 장치 가동으로 토양과 지상부 온도를 낮춰야 한다. 미세살수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