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국내산 풀사료 사료가치는 얼마나 될까?

사료가치 정밀분석기법 이용 분석…낙농농가 정밀한 영양 급여 기대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국내산 풀사료를 ‘사료가치 정밀분석기법(CNCPS)’을 이용해 평가한 결과를 소개했다.
미국 코넬대학교에서 개발한 ‘사료가치 정밀분석기법’은 사료 내 단백질과 탄수화물의 분해 속도에 따라 등급을 나누는 방법이다. 이 기법은 젖소의 산유능력이 과거에 비해 크게 높아지면서 영양 요구량도 늘어 낙농농가에서 보다 정밀한 영양 급여의 필요성이 대두되며 만들어졌다.
이번에 분석한 풀사료는 국내에서 많이 생산‧이용하는 옥수수사일리지, 호맥, 볏짚,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수단그라스, 총체보리 등 모두 6종이다. 분석 결과, 조단백 함량은 2개 지역(충남, 전남)에서 수집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가 13.42%, 13.39%로 지역차 없이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수단그라스의 조단백 함량은 3.90%, 6.20%로 다른 품종에 비해 지역 간 편차가 컸다. 조지방 함량은 이탈리안 라이스라스가 2.44%, 2.99%로 다른 풀사료에 비해 비교적 균일하고 높은 결과를 보였다. 비단백태질소화합물(NPN)은 볏짚을 제외한 다른 품종에서는 20.88%~68.31%/CP로 전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특히,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조단백 함량이 높아 비단백태질소화합물 총량이 다른 작물에 비해 높았다. 지역별 편차는 수확시기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풀사료 원료명을 추가하고 새로 분석한 수치를 입력하면 젖소에게 보다 정밀한 영양 급여를 할 수 있다. 라이브뉴스 곽동신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만생종 자두’ 폭염으로 생리장해 우려…관리 철저
농촌진흥청은 지속된 폭염으로 만생종 자두인 ‘추희’ 품종에서 생리장해와 품질 저하 등 농가 피해가 우려된다며, 철저한 관리를 당부했다. 자두 ‘추희’는 일본 품종으로 1990년대 후반 도입돼 2024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자두 재배면적(6,182ha)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다. 자두 주산지는 경북 의성, 김천, 영천으로, 이 가운데 김천(약 250ha) 지역에서 ‘추희’를 가장 많이 재배한다. 지난해 ‘추희’ 재배지에서는 이상 고온으로 바람들이, 내부 갈변 같은 생리장해가 많이 발생해 올해도 주의가 필요하다. 바람들이는 고온으로 증산량이 많을 때 자두 안의 수분이 사라지면 생긴다. 육질이 퍼석해지는 바람들이 현상이 심해지면 세포가 파괴돼 산화반응이 일어나 자두 속살이 갈변한다. 또한, 성숙기 고온이 지속되면 열매 자람이 더디고 착색 지연까지 나타나 겉으로 보기에 수확 시기가 아닌데도 열매 내부가 이미 익어버리는 ‘이상성숙’ 증상도 보인다. 이러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고온과 직사광선에 열매가 노출되지 않도록 햇빛차단망을 설치해야 한다. 햇빛차단망 설치가 어려울 때는 충분한 물주기, 미세살수 장치 가동으로 토양과 지상부 온도를 낮춰야 한다. 미세살수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