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식품원료, 수입농산물 등 비율 4년만에 300% 증가

국산 농산물은 200% 이상 감소, 식품 속 쇠고기 90%는 수입산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인 새정치민주연합 박민수 의원(진안무주장수임실)이 농림축산식품부가 제출한 식품산업 원료소비실태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식품제조업체에서 국산 식품원료의 사용비중이 급격히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 원료가 되는 농산물 등의 수입산 비중은 200923.9%에 불과하던 것이, 201032.1% 소폭 증가했다가 2011년에는 68.4%까지 대폭 증가해 가장 최근이라 할 수 있는 2012년에는 2009년 기준 300% 가량 증가한 70.3%에 달했다. 반면 국산 사용비중은 정반대다. 200976%에서 201230%까지 200% 이상 줄어들었다. 2011년에도 201068% 대비 반토막 정도인 32%로 감소했다.

품목별로 보면 쇠고기의 경우에는 2009년 수입산 비중이 72.1%이던 것이 2012년에는 90.6%로 거의 대부분의 식품이 수입산 쇠고기로 대체되었으며, 반면 국내산 쇠고기는 28% 수준에서 9.4%1/3 정도로 대폭 감소됐다.

(대두)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2009년 수입산은 43.6%, 국내산은 56.4%로 비등했지만 2012년에는 국산은 19%, 수입산은 81%에 달했다. 밀의 경우는 더욱더 심각하다. 2009년 국내산 40.7%, 수입산 59.3%이던 것이 2012년에는 국산은 0.5%에 불과하고, 나머지 99.5%는 수입산을 사용했다. 이 조사는 2009~2010년 및 2011~2012년 조사는 조사기준을 구매금액에서 구매물량으로, 조사대상은 원료농산물 36개 품목에서 원료농산물 53, 1차 가공 61개 등 114개 품목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박 의원은 값이 싸다는 이유만으로 거의 모든 식품원료에서 국산 비중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는데 이러한 경향은 향후 시장개방에 따라 더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되는바 식품 관련 기업들이 국산 농산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부 차원의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라이브뉴스 곽동신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인천 APEC 장관회의... ‘K-푸드’ 경쟁력 알리는 기회!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홍문표)는 ‘2025 APEC 식량안보장관회의(FSMM)’와 연계해 4일부터 10일까지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농식품 홍보관’을 운영하며 K-푸드의 우수성과 브랜드 가치를 집중 홍보한다. aT는 이번 회의에 각국 농업 관련 정책을 총괄하는 고위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하는 만큼, 농식품 홍보관을 통해 K-푸드의 경쟁력과 성장 가능성을 소개해 수출 확대 계기를 마련할 방침이다. ‘수출농식품관’에서는 라면, 냉동김밥, 떡볶이 등 주요 수출 품목과 함께 간편 비빔밥, 식혜 등 유망 가공식품, 딸기·파프리카 등 신선 농산물을 전시해 우리 농식품의 품질과 다양성을 소개한다. 아울러 ‘전통식품관’에서는 장류, 전통차, 전통주 등 대한민국 식품명인이 만든 우수 제품을 중심으로 구성한다. 도자기, 소반, 한지 소품 등 전통 소재를 함께 배치해, 한국 고유의 식문화와 미감을 한눈에 체험할 수 있도록 연출했다. 이 밖에도, 파우치형 배음료와 식혜 등 수출 유망 음료 시음 기회를 제공하고, 떡과 약과 등 한식 디저트도 함께 즐길 수 있도록 준비해 현장에 높은 호응을 얻었다. 홍보관을 찾은 한 외국 고위급 관계자는 “K-푸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인천 APEC 장관회의... ‘K-푸드’ 경쟁력 알리는 기회!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홍문표)는 ‘2025 APEC 식량안보장관회의(FSMM)’와 연계해 4일부터 10일까지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농식품 홍보관’을 운영하며 K-푸드의 우수성과 브랜드 가치를 집중 홍보한다. aT는 이번 회의에 각국 농업 관련 정책을 총괄하는 고위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하는 만큼, 농식품 홍보관을 통해 K-푸드의 경쟁력과 성장 가능성을 소개해 수출 확대 계기를 마련할 방침이다. ‘수출농식품관’에서는 라면, 냉동김밥, 떡볶이 등 주요 수출 품목과 함께 간편 비빔밥, 식혜 등 유망 가공식품, 딸기·파프리카 등 신선 농산물을 전시해 우리 농식품의 품질과 다양성을 소개한다. 아울러 ‘전통식품관’에서는 장류, 전통차, 전통주 등 대한민국 식품명인이 만든 우수 제품을 중심으로 구성한다. 도자기, 소반, 한지 소품 등 전통 소재를 함께 배치해, 한국 고유의 식문화와 미감을 한눈에 체험할 수 있도록 연출했다. 이 밖에도, 파우치형 배음료와 식혜 등 수출 유망 음료 시음 기회를 제공하고, 떡과 약과 등 한식 디저트도 함께 즐길 수 있도록 준비해 현장에 높은 호응을 얻었다. 홍보관을 찾은 한 외국 고위급 관계자는 “K-푸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