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수입종자 로열티 지불 5년간 31% 증가↑

버섯 51.9억 가장 많이 지불…종자자급률 제고 위한 R&D 예산 감소

최근 세계 종자시장이 확대(430억 달러)되고 있는 가운데 수입종자 사용에 따른 로열티 부담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이이재 의원(동해·삼척)이 농촌진흥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수입종자 사용에 따른 로열티 지불현황료에 따르면, 2008124.3억 원에서 2013162.4억 원으로 5년 동안 31%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로열티 지불로 버섯이 51.9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장미 32.1, , 참다래 25억 원, 20.8억 원 등 순으로 나타났다. 이 중 가장 많은 로열티를 지급하는 화훼류의 경우, 국가별로 네덜란드 32억 원, 뉴질랜드 25억 원, 일본 21억 원, 독일 13억 원 순으로 로열티가 지급된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종자자급률 제고를 위한 R&D 예산은 지난 해 총 17166백만 원으로 전년대비 86천만 원 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주요작물 종자자급률 현황(’12년 기준)을 살펴보면, , , 보리, , 식용콩 등은 100%인 반면, 포도 0.8%, 포인세티아 12%, 15%, 참다래 15.4%, 양파 15.5%, 토마토 16%, 6.4% 등에 불과하다. 문제는 식량자급률 못지않게 중요한 종자 자급율이 낮다는 것은 농업인에게 직접 경제적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이재 의원은 우리 농업의 기초체력을 서둘러 보강하지 못한다면 한중 FTA가 직격탄이 될 수 있다면서 농진청은 관계기관 뿐만 아니라 민간 연구 기반을 적극 활용하여 우수품종을 개발·생산할 수 있는 인프라 확대 및 R&D예산 확보에도 최선을 다해야한다라고 말했다.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인천 APEC 장관회의... ‘K-푸드’ 경쟁력 알리는 기회!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홍문표)는 ‘2025 APEC 식량안보장관회의(FSMM)’와 연계해 4일부터 10일까지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농식품 홍보관’을 운영하며 K-푸드의 우수성과 브랜드 가치를 집중 홍보한다. aT는 이번 회의에 각국 농업 관련 정책을 총괄하는 고위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하는 만큼, 농식품 홍보관을 통해 K-푸드의 경쟁력과 성장 가능성을 소개해 수출 확대 계기를 마련할 방침이다. ‘수출농식품관’에서는 라면, 냉동김밥, 떡볶이 등 주요 수출 품목과 함께 간편 비빔밥, 식혜 등 유망 가공식품, 딸기·파프리카 등 신선 농산물을 전시해 우리 농식품의 품질과 다양성을 소개한다. 아울러 ‘전통식품관’에서는 장류, 전통차, 전통주 등 대한민국 식품명인이 만든 우수 제품을 중심으로 구성한다. 도자기, 소반, 한지 소품 등 전통 소재를 함께 배치해, 한국 고유의 식문화와 미감을 한눈에 체험할 수 있도록 연출했다. 이 밖에도, 파우치형 배음료와 식혜 등 수출 유망 음료 시음 기회를 제공하고, 떡과 약과 등 한식 디저트도 함께 즐길 수 있도록 준비해 현장에 높은 호응을 얻었다. 홍보관을 찾은 한 외국 고위급 관계자는 “K-푸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인천 APEC 장관회의... ‘K-푸드’ 경쟁력 알리는 기회!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홍문표)는 ‘2025 APEC 식량안보장관회의(FSMM)’와 연계해 4일부터 10일까지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농식품 홍보관’을 운영하며 K-푸드의 우수성과 브랜드 가치를 집중 홍보한다. aT는 이번 회의에 각국 농업 관련 정책을 총괄하는 고위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하는 만큼, 농식품 홍보관을 통해 K-푸드의 경쟁력과 성장 가능성을 소개해 수출 확대 계기를 마련할 방침이다. ‘수출농식품관’에서는 라면, 냉동김밥, 떡볶이 등 주요 수출 품목과 함께 간편 비빔밥, 식혜 등 유망 가공식품, 딸기·파프리카 등 신선 농산물을 전시해 우리 농식품의 품질과 다양성을 소개한다. 아울러 ‘전통식품관’에서는 장류, 전통차, 전통주 등 대한민국 식품명인이 만든 우수 제품을 중심으로 구성한다. 도자기, 소반, 한지 소품 등 전통 소재를 함께 배치해, 한국 고유의 식문화와 미감을 한눈에 체험할 수 있도록 연출했다. 이 밖에도, 파우치형 배음료와 식혜 등 수출 유망 음료 시음 기회를 제공하고, 떡과 약과 등 한식 디저트도 함께 즐길 수 있도록 준비해 현장에 높은 호응을 얻었다. 홍보관을 찾은 한 외국 고위급 관계자는 “K-푸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