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중금속 오염된 농경지 경작차단 서둘러야

중금속 등 오염농경지 2010년 이후 261ha, 농작물 재배된 오염농산물 61톤 폐기

중금속 등 오염농경지가 2010년 이후 총 261.3ha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농경지에서는 그대로 농작물을 재배해 2013년도에만 중금속 오염 등으로 761톤의 농산물이 폐기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농어촌공사는 2010년부터 GAP생산기반조성사업의 일환으로 농경지 중금속 오염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윤명희 의원이 한국농어촌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농경지 오염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091.4ha에서 201137.2ha로 줄어들었으나, 201376.3ha로 다시 급증하여 총 261.3ha의 농경지가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농경지는 주로 광산, 산업단지, 쓰레기 매립장, 군부대 주변 농경지로 한국농어촌공사에서는 오염 확인지역에 대해 해당 지자체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에 이 사실을 통보만하고 있을 뿐 경작제한 등의 조치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해당 농경지에서는 지속적으로 농작물을 재배하고 있으며, 2013년도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에서 적발하여 폐기한 중금속 오염농산물은 쌀, , 고추 등 761톤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명희 의원은 토양오염 조사가 조사에 그칠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토양오염 개선사업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지적하는 한편, ‘특히 오염된 토양에서 생산된 농산물은 중금속 오염 등 농산물의 안전성에 큰 문제가 있는 만큼 토양오염이 개선되기 전까지 보상을 통해 경작을 제한하는 등의 방안이 검토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만생종 자두’ 폭염으로 생리장해 우려…관리 철저
농촌진흥청은 지속된 폭염으로 만생종 자두인 ‘추희’ 품종에서 생리장해와 품질 저하 등 농가 피해가 우려된다며, 철저한 관리를 당부했다. 자두 ‘추희’는 일본 품종으로 1990년대 후반 도입돼 2024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자두 재배면적(6,182ha)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다. 자두 주산지는 경북 의성, 김천, 영천으로, 이 가운데 김천(약 250ha) 지역에서 ‘추희’를 가장 많이 재배한다. 지난해 ‘추희’ 재배지에서는 이상 고온으로 바람들이, 내부 갈변 같은 생리장해가 많이 발생해 올해도 주의가 필요하다. 바람들이는 고온으로 증산량이 많을 때 자두 안의 수분이 사라지면 생긴다. 육질이 퍼석해지는 바람들이 현상이 심해지면 세포가 파괴돼 산화반응이 일어나 자두 속살이 갈변한다. 또한, 성숙기 고온이 지속되면 열매 자람이 더디고 착색 지연까지 나타나 겉으로 보기에 수확 시기가 아닌데도 열매 내부가 이미 익어버리는 ‘이상성숙’ 증상도 보인다. 이러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고온과 직사광선에 열매가 노출되지 않도록 햇빛차단망을 설치해야 한다. 햇빛차단망 설치가 어려울 때는 충분한 물주기, 미세살수 장치 가동으로 토양과 지상부 온도를 낮춰야 한다. 미세살수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