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라인&핫뉴스

농어촌公, 광주전남혁신도시 신청사 준공식 열어

8번째 이전기관으로 730여명 근무...올해까지 13개 기관 이전 예정

한국농어촌공사(사장 이상무)14일 전남 나주시 광주전남혁신도시빛가람동에서 신청사 준공식을 갖고 본격적인 빛가람혁신도시 시대를 열었다.

신청사에는 본사 직원 732여명이 근무하게 되며, 지난달 이전을 완료했다.

공사 신청사는 부지 115466, 건축 연면적 43370, 지하 1· 지상 18층 규모다.

이날 준공식에는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 최규성, 유성엽, 김승남, 신정훈 의원과 이낙연 전남도지사, 강인규 나주시장을 비롯한 지자체장 및 각급 기관장, 지역주민 등 350여명이 참석했다.

농어촌공사는 1908년 전북 옥구수리조합을 시작으로 농업생산기반의 조성과 관리, 농어촌 정비와 농지은행사업 등을 시행하고 있으며, 대단위 농업개발, 어촌특화발전지원, 농어촌 6차 산업화와 도농교류 지원 등 다양한 정책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공사는 이전을 계기로 스마트워크 도입 등 내부 경영혁신과 함께 지역인재 채용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활동을 적극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상무 사장은 준공식에서 빛가람혁신도시에서 행복한 농어촌을 만드는 글로벌 공기업으로서 우리 농수산업의 세계화를 향한 새로운 100년을 만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 빛가람혁신도시=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만생종 자두’ 폭염으로 생리장해 우려…관리 철저
농촌진흥청은 지속된 폭염으로 만생종 자두인 ‘추희’ 품종에서 생리장해와 품질 저하 등 농가 피해가 우려된다며, 철저한 관리를 당부했다. 자두 ‘추희’는 일본 품종으로 1990년대 후반 도입돼 2024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자두 재배면적(6,182ha)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다. 자두 주산지는 경북 의성, 김천, 영천으로, 이 가운데 김천(약 250ha) 지역에서 ‘추희’를 가장 많이 재배한다. 지난해 ‘추희’ 재배지에서는 이상 고온으로 바람들이, 내부 갈변 같은 생리장해가 많이 발생해 올해도 주의가 필요하다. 바람들이는 고온으로 증산량이 많을 때 자두 안의 수분이 사라지면 생긴다. 육질이 퍼석해지는 바람들이 현상이 심해지면 세포가 파괴돼 산화반응이 일어나 자두 속살이 갈변한다. 또한, 성숙기 고온이 지속되면 열매 자람이 더디고 착색 지연까지 나타나 겉으로 보기에 수확 시기가 아닌데도 열매 내부가 이미 익어버리는 ‘이상성숙’ 증상도 보인다. 이러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고온과 직사광선에 열매가 노출되지 않도록 햇빛차단망을 설치해야 한다. 햇빛차단망 설치가 어려울 때는 충분한 물주기, 미세살수 장치 가동으로 토양과 지상부 온도를 낮춰야 한다. 미세살수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