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헤어리베치’ 지지식물 4줄 늘려 파종

지지식물 1줄 파종 때보다 채종량 53% 많아져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이 녹비작물인 ‘헤어리베치’의 채종(씨받이)량을 늘릴 수 있는 재배기술을 개발했다.

기존에는 50cm 간격으로 ‘헤어리베치’와 밀을 한 줄씩 번갈아 줄뿌림했으나, 이는 밀이 ‘헤어리베치’를 지지하지 못해 쓰러짐이 많고 채종량도 적었다. 이번에 개발한 재배기술은 ‘헤어리베치’를 지탱해주는 밀을 기존의 줄 간격 50cm, 1줄 파종에서 줄 간격 25cm, 4줄 파종으로 늘린 것이다.

이 방법은 ‘헤어리베치’의 종자를 수확할 때까지 밀이 지지해 줄 수 있어 기존 방법보다 종자 수확량이 53% 많았다.

‘헤어리베치’는 전남 지역을 중심으로 전국에서 약 23,600ha에서 재배되고 있다.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헤어리베치는 ‘청풍보라(2009)’, ‘온토비(2010)’, ‘토익(2012)’, ‘자청비(2013)’가 있다.

농촌진흥청 전작과 구자환 박사는 “개발된 ‘헤어리베치’ 채종 재배기술은 기존의 줄뿌림 파종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추가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채종량을 늘릴 수 있다.” 라고 전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만생종 자두’ 폭염으로 생리장해 우려…관리 철저
농촌진흥청은 지속된 폭염으로 만생종 자두인 ‘추희’ 품종에서 생리장해와 품질 저하 등 농가 피해가 우려된다며, 철저한 관리를 당부했다. 자두 ‘추희’는 일본 품종으로 1990년대 후반 도입돼 2024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자두 재배면적(6,182ha)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다. 자두 주산지는 경북 의성, 김천, 영천으로, 이 가운데 김천(약 250ha) 지역에서 ‘추희’를 가장 많이 재배한다. 지난해 ‘추희’ 재배지에서는 이상 고온으로 바람들이, 내부 갈변 같은 생리장해가 많이 발생해 올해도 주의가 필요하다. 바람들이는 고온으로 증산량이 많을 때 자두 안의 수분이 사라지면 생긴다. 육질이 퍼석해지는 바람들이 현상이 심해지면 세포가 파괴돼 산화반응이 일어나 자두 속살이 갈변한다. 또한, 성숙기 고온이 지속되면 열매 자람이 더디고 착색 지연까지 나타나 겉으로 보기에 수확 시기가 아닌데도 열매 내부가 이미 익어버리는 ‘이상성숙’ 증상도 보인다. 이러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고온과 직사광선에 열매가 노출되지 않도록 햇빛차단망을 설치해야 한다. 햇빛차단망 설치가 어려울 때는 충분한 물주기, 미세살수 장치 가동으로 토양과 지상부 온도를 낮춰야 한다. 미세살수의

배너